아흔 개의 봄 - 역사학자 김기협의 시병일기
김기협 지음 / 서해문집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머니, 경하드리옵니다. 오늘로 어머니께서 아흔 살이 되셨습니다."
어머님과의 화해와 사랑이 이 글을 쓰게 했다. 어머님에 대한 아픔을 오랫동안 담고 지냈던 저자에게 어머니에 대한 수발은 어색했다. 어머님에 대한 편견과 아픔을 그는 삶속에서 고스란히 담고 살았다. 얼마나 아팠을까. 어머님에게 대한 아픔은 자신의 아픔이며, 어머니로 통해 이 땅에 태어났음을 원망할 수 있다. 어머니 그러면 그리움의 대상이요. 영원한 안식처요. 기다려지는 고향이다. 모든 인간은 어머니를 그리워한다. 어머니이 품이 그립다. 어머니의 따뜻함이 그립다. 어머니는 영원한 우리의 고향이다. 저자는 어머니를 모셔 수발을 통해 그동안 가졌던 아픔을 사랑으로 승화시킨 이야기를 이 책에 가득담고 있었다. 일명 "병상일기"이다. 그는 어머니를 모시면서 ’시병일기"를 쓰게 되었다. 글을 쓰면서 어머니에 대한 자신의 마음에 상처가 치유되었다. 그는 시병일기를 통해 모든 관계가 새로워졌다. 그는 지금 어머니에 대한 마음을 이 책에 가득채웠다. 그의 마음은 어머니로 가득찼다. "지금 어머니를 몹시 좋아하고 아낀다"고 한다. 아흔의 나이가 되는 어머니를 바라보며 좋아하고 아낀다고 한다. 원망과 아픔, 고통이 사라졌다. 어머님과의 화해로 인해 그는 사랑의 마음을 갖게 되었다. 시병일기속에 어머니-그는 어머님에 빠져있었다. 어머님의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일상에 있었던 이야기들을 담아가면서 어머님과 함께 했던 시간들이 좋았다. 어머니 아흔이 되었어요. 그러니 머해 줄래? 징그럽다 등의 이야기를 하시면서 웃음을 입가에 드리운 모습을 이 책에 담았다. 금강경, 반야심경 등을 외울 정도의 학식과 품위가 있는 어머니였지만 지금은 가냘픈 한 노파이다. 그렇지만 우리 어머니야 하는 마음이 전달된다. 나도 엄마가 있어 하는 어린아이와 같은 마음을 저자는 담고 있다. 그동안 우리 엄마야를 외치고 싶었지만 하지 못했던 그의 마음이 이곳에 진하게 스며들어 있다. 어머님을 통해 모든 것을 새롭게 보는 시야가 열렸다. 어머님이라는 프리즘으로 세상, 형제, 가족, 모두는 모습을 보면서 일어나는 심리적, 정신적인 변화 등을 담고 있기에 우리들의 가슴을 시원하게 하지만 많은 생각과 뉘우침을 갖게 했다. 삶속에 진정한 고향을 찾은 저자처럼 우리의 고향은 어머니이심을 더욱 알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