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균형 아시아 문학선 3
로힌턴 미스트리 지음, 손석주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적절한 균형


“이 소설을 읽는 순간, 당신의 가슴은 찢어질 듯 아플 것이다”라는 문구에 눈을 뗄 수 없었다. 정말 !

사람들의 삶속에서 상처받고 회복 불가능으로 살아가는 이들이 곳곳에 너무 많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희망의 세계에 이런 세상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갖게 했다.

역시 가슴이 아파왔다.

1975년 인도에 비상사태가 선포되었을 무렵의 이야기다

인도 역사에 가장 혼란한 시대이기도 했다.

이런 시대적인 배경을 안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이들의 삶을 그리는 책이다.

특히, 네 명의 인생을 교차하면서 글을 썼다.

그들의 인생을 적나라하게 열거했다. 깊이 있게 다루었다.

그 안에서의 삶의 모습을 그렸다.

비참한 그들의 삶에서 가슴이 아팠다.

지금도 이런 세계가 있을까 생각했다.

평등과 자유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지 새삼 느꼈다.

공평한 기회가 주어진 우리 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지 몰랐다.

네 명의 인물을 조명하면서 인도의 계급 제도를 보게 한다.

그럼에도 삶의 균형들을 갖는 것이 우리의 인생사가 아닌가

생각한다.

이 책을 보면서 오프라 윈프리가 선정한 책답다하는 생각을 했다.

비극적인 이야기가 담겨있지만 또 다른 우리 인생사의 모습을 보게 되었다.

그곳에서도 희망이 있고, 사랑이 있음을 보았다.

도저히 인생의 혹독함속에 다시는 새싹이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음에도

그 안에 진한 사랑과 마음이 싹터온다.

마치 겨울 후에 봄이 오듯이

이 책은 마치 꽃을 피는 그날을 위해 썼던 것 같다.

비참한 모습과 상황속에도 내일이라는 것이 있으며

희망이 있기에 살아감을 보여주고자 했다.

더 나아가 네 명의 삶을 통해서 인생의 균형과 인생사의 균형을

말하고 있다.

그렇다. 불균형한 인생이라 생각해도 균형이 있는 인생으로 반드시

돌아간다는 진리를 담고 있는 것 같다.

밑바닥의 인생이라고 반드시 희망을 안고 있다.

인도의 밑바닥의 인생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한가한 희마을

갖게 하지 않는다.

오뚜기의 인생처럼 다시 일어설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 비참한 현실도 희망이 있다는 것이다.

그게 균형이라는 것이다.

이 책을 보면서 많은 생각했다.

처럼에는 두께에 놀랬다. 글씨체로 작았다.

그러나 읽을 수록 빠져갔다.

역사를 읽는 듯 했다.

현실속에 빠져 있는 것 같았다.

내 마음이 아팠다.

그러나 무엇인가 서광을 보게 되었다.

감사하다. 이 책을 읽도록 해 주신 출판사, 카페, 저자에게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