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통해 과거와의 대화를 역사의 뒤안길을 보게 된다. 

절대적 왕과 제왕적 대통령의 힘은 나라와 민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 책을 통해 조선 시대의 절대적 왕권과 현대의 제왕적 대통령을 비교하게 되었다. 

이 책은 조선 시대의 가장 큰 아픔 중에 하나인 정묘호란에 이어서 병자호란을 겪게 된 치욕적인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담고 있다. 

 

나라는 백성들을 보호하며 백성들의 생명을 지켜야 한다. 

한 나라의 왕은 이 책임을 완수해야 한다. 자신의 생명보다 백성들의 생명을 지켜가야 하는 것이 군주의 도리이며 군주의 사명이다. 물론, 인조는 자신의 생명보다 백성의 생명을 지켰다고 할 것이다. 그렇지만 역사의 치욕을 겪게 했던 것은 인조의 정책을 증명할 수 있다. 

 

한 나라 제왕의 통치는 백성들의 삶을 좌지우지 하게 된다. 한 나라 제왕의 통치는 백성들의 생명을 지킬 수도 잃을 수도 있다. 

 

우리의 역사는 주변국들의 침략으로 얼룩져 있다. 현재의 우리 나라는 주변국들의 패권 전쟁으로 몸살을 하고 있다. 어떤 정부는 한,미,일 정책을 강화하고, 어떤 정부는 세계화를 주장한다. 모든 정부는 자국의 이익을 추구한다고 한다. 

 

그러나 작금의 현실속에서 우리의 나아갈 길을 쉽게 찾게 어렵다. 

주변국들은 자국의 이익과 동아시아 패권을 장악하고자 한반도를 이용하고 있다. 

남한과 북한을 이념으로 나누었다면 지금은 동아시아 패권 장악에 한반도를 이용한다. 

 

우리는 이들의 패권에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살리는 정책을 펼쳐가기가 어렵다. 

그러나 인조처럼 머리를 조아리며 목숨을 구걸하지 않아야 한다. 

당시에 인조는 백성이었다. 모든 백성이 외세에 머리를 조아리게 된 것이다.  

 

조선은 우리의 과거만이 아니다. 우리의 뿌리이다. 

뿌리의 아픔을 고스란히 현재까지 이어 오고 있다. 

우리는 극복해야 한다. 

역사적 반복이 아니라 역사의 사건을 교훈 삼아야 한다. 

 

세계사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세계의 흐름을 알고 대처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반도의 현세를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역사를 교훈 삼아야 한다. 

 

정묘호란에 이어 병자호란을 겪게 된 인조는 백성을 위한 정책보다 인조를 세운 반정들의 맛에 따른 정책을 펼친 결과를 쓴맛으로 보았다. 

 

현대에 사는 우리는 주변국들의 득세에 늘 긴장하고 있다. 

그들은 우리 나라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물론 그들은 동반자라고 한다. 협력자라고 한다 그러므로 동맹을 이루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역사는 말한다. 

동맹은 자국의 이익에 편승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조의 굴욕적이며 처참한 순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잊는다. 

지금에 안주하며 작금의 현실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두렵다. 

다시금 인조와 같은 굴욕을 맛볼까 두렵다. 

 

제국주의적 발상이 아니다. 

우리는 우리 나라를 지켜야 한다. 

동맹국들의 논리에 흡수되어서는 안된다. 

우리의 철학과 정책이 분명해야 한다. 

주변국은 한반도를 동맹국으로 치켜 세운다. 

그러나 우리 한반도는 주변국들의 야욕을 보아야 한다. 

그리고 대처해야 한다. 

자국의 실리와 자국의 안정을 위해 친미, 친일, 친중 등을 배제해야 한다. 

철저한 자국의 안정을 위해 정책을 펼치며 시소게임을 해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의 아픔을 다시 보게 되었다. 

저자는 우리의 역사를 잊지 말자는 것이다. 

역사를 통해 흥미로움을 전달하고자 함이 아니다. 

아픈 역사를 통해, 치욕의 역사를 통해 우리의 현실을 바로 보자는 저자의 외침을 보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