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무소유 - 법정스님 이야기
정찬주 지음 / 열림원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정찬주는 무염이라는 법명을 가지고 있다. 그는 산 중에 집을 지어 화순으로 낙향했다. 그는 다양한 장편소설을 남기고 있는 국민학자이며 법정스님의 재가제자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법정스님의 삶을 드러다 볼 수 있다. 법정스님은 무에서 와서 무로 인생을 마친 존재이다. 그는 많은 사람들과 달리 욕심을 이겨낸 스님이다. 스님의 길은 세속을 떠나 무소유를 지향하며 부처님의 도를 따르는 존재이지만 세상 욕심을 버린다는 것이 쉽지 않다. 산속에서 수행을 하지만 생각속에는 우주를 벗삼아 자신의 꿈을 버리기 어려운 것이 인생임을 스님들이 탄식한다. 

 

법정스님은 그의 삶의 정신을 무소유에서 시작했다. 그의 정신적 지주는 부처님의 도리일 것이다. 그의 삶은 부처님의 삶을 따르는 것이었다. 

 

법정스님의 자취를 소설로 만날 수 있음은 작가 정찬주의 작품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찬주 작가의 뜻을 이루어 이름을 높이고자 함이 아니라 자신은 작은 등불아래 숨겨진 잡초처럼 여기면서 등불이 된 법정스님을 높이는 역할을 했다. 

 

작가 정찬주는 무소유에 녹여냈고, 법정스님을 높이는 재가제자로서 충실함을 그의 글에서 엿볼 수 있다. 법정스님의 삶은 많은 이들에게 평범하지만 특별한 삶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함이 아니다. 많은 이들처럼 인생의 고난이 있음을 보여준다. 법정스님은 인생의 고난을 어떻게 극복했을까.

 

때로는 스님들의 삶을 보면 무책임하다는 것이 생각이 든다. 가족을 등지고 세속을 버린다는 명분으로 스님의 길을 걷는다. 때로는 도피라고 생각이 든다. 그렇지만 스님들의 가슴에는 해결할 수 없는 인생의 길과 진리를 찾고자 갈급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책임진다. 때로는 버겁고 힘든 순간이 있지만 최선을 다해서 자신의 인생을 걷는다. 그러나 힘겨운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무엇 때문에 힘겨울까. 자신을 힘들게 했던 것을 돌이키면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자신을 힘들게 했던 것은 결국 욕심이다.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법정스님은 인생의 짐을 내려놓았다. 즉 욕심을 내려놓고, 무소유를 통해 그 길을 헤쳐나가게 된다. 누구도 갈 수 없었던 길을 법정스님을 개척하여 걷게 된 것이다. 이 길을 엿볼 수 있는 "정찬주 작가의 법정"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