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식사에는 감정이 있습니다 - 내 삶을 옥죄는 다이어트 강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심리 수업
박지현 지음 / 에디토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식이장애 클리닉 '마음과 마음'의 수석 상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너는 꽃 식이장애 회복 커뮤니티'를 운영하며 식이장애 상담을 전문으로 하고 있는 박지현이다.

 

식이장애라는 특별한 현상에 우리는 생소함을 가진다. 다이어트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들었다. 그렇지만 식이장애로 인해 상담을 요하는 이들이 의외로 많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외모지상주의에 따른 병패라고 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식이장애로 인해 많은 이들이 심리적 장애를 겪고 있다. 이는 놀라운 일이다. 

 

사람들은 먹는 것에 관심을 갖는다. 먹고 살기위해 산다는 단순하면서 진리같은 이야기는 우리 인생사의 흐름중에 하나이다.

 

이 책은 먹는 것에 대한 다양한 심리적 상태를 갖는 이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폭식에 대한 심리적 상태, 거식에 대한 심리적 상태, 다이어트에 임하는 심리적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저자는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사람들은 내면적 작용에 의해서 많은 변화를 갖는다. 멀쩡한 육체라고 하지만 내면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상태가 되면 육체적 변화를 갖게 된다.

 

저자는 '나의 몸을 믿으세요. 제일 정확한 기준은 내 몸의 감각입니다."라고 강조한다.

 

'여러 원인에 의해 식사를 거부하는 거식 상태에 있던 분들은 치료를 받으며 다시 식사를 시작할 때, 체중 강박이 굉장히 심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내면적 상태에 의해서 먹는 것에 장애를 겪고 있다. 먹는 행복보다는 먹는 아픔이라고 할까. 먹는 것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잘못된 심리적 상태를 만들어 가는 경우도 있다.

 

먹는 것에 대한 강박관념보다는 먹는 것으로 인해 자신을 새롭게 관찰하는 기쁨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남을 사랑하는 관념보다는 자신을 사랑하는 모습을 되찾는 것이 먹는 것에 대한 기쁨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이어트에 대한 강박관념, 살찌는 모습에 좌절감 등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은 남의 눈으로 바라보는 자신이 아닌 자신의 눈으로 바라보는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 것이 먹는 것으로 인해 심리적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이다.

 

이 책을 통해 식이장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현실에 대한 아픔을 보게 되었다. 자신을 드러내는 시대이지만 자신을 죽이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도 놀라웠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자신을 사랑하는 모습이 무엇이며, 건강한 심리를 갖는 자의 식사는 행복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도 식이장애를 겪고 있는 이들이나, 음식에 대한 강박관념속에서 먹거리에 대한 염려하는 이들이 있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