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하고 싶은 말이 뭡니까? - 15초 안에 ‘Yes’를 이끌어내는 보고 테크닉 50
김범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품절


"보고는 자기 존재를 드러내는 일이 아니다. 상대방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이다. "이런 건 모르셨죠? 제가 나름대로 똑똑하거든요. 그러니 제 말대로 하세요"라고 말하고 싶은 욕망을 누리고 "그런 게 있었구나. 어떻게 찾아낸 거야? 그래, 우리 한번 해보자"라는 대답을 얻어내기 위해 총력전을 푤쳐야 한다. 이것이 보고를 잘해보겠다고 생각한 사람이 가져야 할 제대로 된 비즈니스 마인드다."

 

저자는 보고에 대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이들을 위해 보고에 대한 마인드를 새롭게 갖게 하고자 이 책을 저술했다. 보고는 모두가 어려움을 갖는다. 보고받는 이의 성향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제대로 된 보고를 할 수 있다.

 

생산성을 갖는 다양한 변수를 뚫고 나갈 수 있는 기획안이라고 해도 보고 받는 이의 충분한 의향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올바른 보고서를 작성할 수 없고, 보고가 진행되지 않는다.

 

보고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인정받는 보고자가 되고자 한다면 이 책의 도움을 받았으면 한다. 저자는 보고라인에 어려움을 격는 이들을 위해 이 책을 저술했다고 분명하게 목적을 말하고 있다.

 

"이 책은 '왜 나의 보고는 늘 인정받지 못하는 걸까?'라며 고통받았던 당신을 위해 썼다."

 

보고 때문에 고통받은 이들은 많다. 이들은 이 고통때문에 이직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이직한다고 해도 또 다른 보고라인으로 인해 고통받게 된다. 그렇다면 보고에 대한 문제점을 면밀히 연구해야 한다. 무엇이 문제인가, 무엇 때문에 보고에 인정받지 못하는 것일까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나의 잘못된 관점에 집중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바꿔가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는 자신의 입장에서 상대의 입장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내 생각보다는 상대의 생각에 집중하는 것은 보고받는 사람이 보고 사안을 통제하고 있다는 것을 느껴라는 것이다. 보고받는 사람의 의향을 분명하게 알게 된다면 그 성향과 의도에 따른 보고서를 작성하기에 보고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인정받는 보고가 되는 것이다.

 

현대인들은 분주함속에 살고 있다. 그렇지만 분주함속에 단순하면서 핵심적 보고 체계를 갖고자 한다. 이 책의 서두에서 말했던 것처럼 길게 늘어진 보고는 대다수 원치 않는다. 짧고 분명한 목적을 포함해야 진정한 보고가 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에게 보고에 대한 기본을 세워주는 책이다. 보고로 부터 얻고자 하는 다양한 필요는 보고에 따라 다르게 된다. 보고는 시작이다. 보고에서 시작됨을 잊지 않고 보고에 현명함을 갖고자 한다면 이 책의 도움을 받았으면 한다.

 

새로운 보고 체계를 원한다는 것보다 보고받는 이에게 인정받는 보고자가 되고자 한다면 저자의 책을 가까이 해야 한다.

 

저자는 오랫동안 보고에 대한 기본과 습관을 가르쳐 왔다.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보고는 어떤 보고인가를 알아가면 현명한 보고자가 되고자 한다면 이 책을 읽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