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철학의 풍경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사진철학의 풍경들
진동선 글.사진 / 문예중앙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사진을 찍는 이에게는 그리고 사진을 읽는 이에게도, 각 사진은 제각각의 의미가 있다. 프로 사진가에게도, 아마추어들에게도 그 직업적 의미와, 성취감, 미적 생산에 대한 욕구 등으로 인한 '사진함'이 있을 것이고 아마도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는 나와 같은 다수의 미디어 생산/소비자에게도 자신의 '사진함'의 의도와 의미가 있을 것이다. 감상자에게 또한 누군가에게는 가슴 저릿한 감동을 줄 수도 있고 일상적이거나 정보를 제공받거나 하는 등의 의미 또한 있을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가장 근원적이면서 궁극적인 사진의 의미는 기술의 차이에서 오는 노련함의 정도가 아닌 '사진함'과 사진이 (감상자를 포함하여)그 '누군가의 의미'라는 데 있다.
저자의 사진에 대한 깊은 애정과 수많은 철학적 사유들의 이갸기가 접점을 이루면서 우리는 렌즈를 통해 선택되는 이미지들과 의미에 대해 고민하고 때론 영감을 받게 된다. 저자의 <사진철학의 풍경들>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렌즈를 통해 세상을 보는 이의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의미에 대한 사유이다. 그러한 사진에 대한 사유는 박제된 이미지가 기억을 통해 시공간을 부활시키고, 실재와 상상이 결합해 자신만의 빛과 어둠의 조형을 이루고, 시선에 대한 사유를 통해 아픈 성장통을 겪다보면 결국 자신만의 의미창출과 끊임없이 세상을 보는 가장 근원적인 예술로서의 시선을 남게 한다. 카메라를 손에 들고 있는 한 프레임을 선택하는 사진을 하는 이에게 피사체 선택과 그 의미에 대한 딜레마 혹은 매너리즘을 극복할 수 있는 여러 지점들을 제시하고 있다고 해야 할까.
이 책은 저자가 시도하는 철학을 통한 ‘사진함’의 정리이기 이전에 또, 저자 자신의 사진집이기도 하다. 종종 다른 작가의 사진이 실리기도 하지만 텍스트의 사례로 생각해볼 수 있는 저자의 컷들이 실려있다. 이 중 나는 ‘하야리아 부대’(2011)이 인상적이었는데 마치 잃어버린 시간을 되돌려 받는 듯하면서도 그 잃어버린 시간에 대한 맥없음이 손의 제스처와 타이틀이 만나(저자는 사진의 타이틀을 결정짓는 데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충분히 전달된다. 그 많은 역사와 시간을 누군가의 손짓 하나가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사진의 미니멀이 주는 큰 파장력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저자가 인터뷰내용을 실은 보드리야르의 사진은 (책에 실리진 않았지만) 현재의 우리에게 현실 모든 것의 오브제화라는 영감을 주고 있기도 하다. 모든 것이 오브제이자 피사체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고 이를 어떻게 해석할지, 어떤 시점에서 재현해낼지, 그래서 어떤 공감을 불러일으킬지가 바로 사진찍는 이들 각각의 선택이자 차이가 된다.
차이를 통해 개성과 자신만의 의미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는 이러한 사유와 여러 시도에서만 창출된다. 시간이 흐른 지금 보면 영화의 필름과 차이가 없어 보이는 듀안 마이클의 시퀀스 포토그래피 또한 당시에는 ‘사진적 행위를 언어적 행위로 치환하’는 지금의 여러 유수와 같인 포토그래퍼들의 내러티브 있는 작업들을 이끌어냈다. 그렇다면 한 장의 사진이라는 의미를 넘어선 시리즈 작들의 의미작용은 어떤 의미가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볼만 하다. 소피 칼과 같은 이들의 작업에서 우리가 받는 감동은 기록의 산실같아 보이지만 감상자로 하여금 새로운 상상을 하게 한다는 데 그 출발점이 있다. 사진이지만 순간을 넘어선, 누구에게나 다르게 해석이 가능한 내러티브, 주어진 스토리텔링을 넘어서는 작가와 감상자의 인터랙티브의 확장에 바로 그 의미가 있다. 나는 영화의 필름과 같이 연속적이거나 누구에게나 같은 정보를 주는 사진보다는 점프컷이 된 시리즈의 시퀀스 포토그래피가 훨씬 더 흥미롭다. 그 내러티브는 현실을 넘어서 환타지가 되기도 하고 때로 과거와 미래를 오가는 SF 가 되기도 하며 때로는 스릴러가 되면서 사진이라는 장르를 넘어선 문학과 영화에 다름아닌 몇장의 컷이 된다. 이것은 우리의 기억과 접속하면서 무한한 해석을 이끌어내는 데 각각의 해석까지를 예술작품의 마지선으로 본다면 하나의 작품은 무한히 많은 작품으로 거듭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저자의 말대로 연출임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이 있는 사진의 경우에 쉽게 감동하게 된다. 사진에 함축된 시공간과 감상자에게 내재된 의미가 상호작용하는 순간이다. 현대사진작가의 작품들은 오브제를 직접 설치 및 제작한 후 철저한 의도에 의한 사진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우연에 기인한 작품들이 큰 감동을 주기는 하지만 현대사진은 사진의 우연성을 뛰어넘어 의도와 사회적의미를 강렬하게 전달하는 데 그 목적을 두는 작품이 많다. 그들의 작품은 우연이라기 보다는 (세팅된 피사체와 후반디지털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만들어진 사진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의견이 설득력을 얻는 부분은 마이클 케나의 사진과 작가에 관한 이야기 때문이었다. 마이클 케나의 작업은 오랜 시간 노출작업을 통한 사진작업이 많은데 변화무쌍한 환경에서의 그 사진이 꼭 케나의 의도대로 나오는 경우는 없다. 그 누구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의도한 그대로를 얻을 수 없는 것이 사진이라는 측면이 내게 굉장히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그 우연성이란 자연과 함께 했을 때 더 큰 시너지를 발휘하는 듯 하다. 휴머니티가 범접할 수 없는 자연만의 순간, 말그대로 사진이 찰나의 예술이 되는 순간은 이러한 사진이 탄생했을 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을 담고 우리에게 그만으로도 감동을 주는 사진들은 오랜 세월 그 자연이 간직한 신비로움 때문일 것이며 그 오랜시간과 변화하는 공간이 (마치 인간의 주름처럼) 한 컷에 담겨 있음에 그 감동이 배가 되는 것일게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사진을 순간을 담는다고 절대 말할 수 없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피사체 혹은 배경의 무엇인들, 그리고 그 빛과 어둠의 순간인들, 시간을 머금지 않은 컷은 없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사진의 역사를 만날 수 있는 책과 더불어 읽는다면 더 좋은 독서가 될 듯하다. 또, 사진을 대하는 철학계의 반응에 대한 심도있는 독서가 더해진다면 금상첨화겠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이러한 심도 있는 독서로 가는 가이드가 될 것이다. 가령 수전손택의 사진의 폭력성이라는 의미에 대한 고찰이 있기까지 어떤 사진들이 평단에 오르내렸으며 우리는 어떤 사진을 읽을 때 이러한 의미로 받아들이게 되는가에 대한 고민을 위해서이다.
나는 모든 예술은 의미의 투쟁에서 새로움을 창출시킨다고 믿는다. 지금의 현대사진의 표현법이 나오기까지는 수많은 실험과 의미분쟁이 있어왔다. ‘사진철학의 풍경들’은 그런 의미에서는 온건한 가이드이다. 사진을 하는 이들에게 어떤 사진이 이러한 철학적 논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이는 사진을 읽는 이들에게도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진의 사회적 실천의 의미에 대해 좀더 부가적인 설명과 사회적 의미에 대해 언급되길 바랬으나 피사체 혹은 대상, 주제 등의 표현적 의미에 대해 더욱 저자가 공감하고 있기 때문인 듯 하다. 리처드 볼턴의 ‘의미의 경쟁’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사진적 진실의 정치학을 넘어서서 사진의 정치학사를 들여다보는 것이 사진과 이미지를 소비하는 독자들에게는 더 필요한 지점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인지 사진을 하는 이를 더 염두해 두고 씌여진 책으로 느껴진다. 사진을 읽기만 하는 감상자보다는 직접 표현하는 이에게 좀 더 공감과 도움을 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여러 이미지에 대한 사유에서 비롯된 철학과 사진과의 접점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공부가 다양한 주제와 방법의 사진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랬던 듯 하다. 사진한장을 찍기까지, 그리고 그 사진을 읽으면서 수없이 질문을 던지고 자신의 의미를 찾아가는 예술로 인식하게 하는 저자의 사유의 과정이 긴 여행과도 같다.   

이 책은 사진이라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철학의 여러 흐름을 이해하는 데도 또 다른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미지와 철학의 접점에 대한 고민을 하는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내게는 저자가 제시한 레지스 드브레, 폴 리쾨르, 수잔 손택, 존 버거의 부가적인 독서가 이 책을 읽으면서 이미지에서 사진이라는 구체적인 텍스트로 나아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었다. 저자의 사진에 대한 의견에 많이 공감하고 있다면 로버트 헨리의 ‘예술의 정신’을 추천하고 싶다. 또한 저자의 블로그를 (http://blog.naver.com/sabids?Redirect=Log&logNo=150095384058)통해 저자의 현재 사진작업을 엿볼 수 있었고 끊임없이 렌즈 안과 밖 세상에 관심을 가지고 고민하는 저자의 노고를 알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