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콥스키, 그 삶과 음악]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차이콥스키, 그 삶과 음악 우리가 사랑하는 음악가 시리즈 7
제러미 시프먼 지음, 김형수 옮김 / 포노(PHONO)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이콥스키라는 작곡가란 우리에게 굉장히 익숙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책을 만나고 보니 그건 내 협소한 시각이었을 뿐이었다. 익숙한 멜로디 몇 몇 구절과 교과서의 교육만으로 상상해 온 차이콥스키를 그의 일상과 더불어 일대기를 들여다보고 음악의 배경에 대해 이야기 듣고, 그의 많은 곡을 반복해서 들으면서 다시 생각하게 되는 그의 이미지는 지금껏 상상해왔던 차이콥스키와는 차이가 있다.
음악가로서의 번민도 많았겠고 그의 주변에 너무나 많은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그의 음악에도 그 영향이 많았겠지만 한 사람으로서 태어나고 사랑하고 몸와 마음의 숱한 변화를 겪는 차이콥스키가 더 가깝게 느껴진다. 아마도 음악가의 삶을 안다는 것은 그의 음악을 의도와 탄생의 배경을 더 실제에 가깝게 이해할 수는 있을 듯 하다. 이는 여느 예술가의 작업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예술의 생산과 수용이 시간을 넘어서 좀 더 가까운 소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수용자만의 또 다른 창작으로서의 감상을 유도하는 데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을테지만 말이다.
이 책을 만나면서 차이콥스키 이외의 작곡가들의 음악을 들으면서도 창작자의 캐릭터를 알고 싶은 마음이 든다. 삶을 알고 싶고 그가 주변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왔는지 어떤 삶의 굴곡의 지점에서 당시의 음악이 탄생했는지...
그의 알려진 삶을 총망라하고 편지 등을 통해 다시금 차이콥스키를 재조명하려는 저자의 의도가 느껴진다. 경건한 삶만이 위대하다거나 또 꼭 그러한 생활에서 위대한 예술이 창작된다고는 할 수 없다. 여느 예술가처럼 마음의 번민을 수백번 오르내리며 차이콥스키의 음악도 탄생되었다. 물론 저자의 이야기를 듣자면 음악교육을 정식으로 받지 않았을 때조차 아름다운 노래를 작곡한 차이콥스키의 음악적 재능은 어느정도 타고 난 듯 했다.

그의 다양한 음악을 접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인데 차이콥스키의 유명발레곡 이외에도 귀에 익숙한 멜로디들이 있어서 반갑기도 했다. 피아노 연주곡을 주로 듣던 취향에서도 조금은 더 나아가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Op.35 피날레를 듣는 기쁨도 알게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보고 생각하는 즐거움에서 나아가 음악에 관한 책들은 듣는 즐거움을 알게 하고(실제로 음악을 부록하지 않더라도) 음악을 듣는 귀를 발전시키는 듯 하다. 이는 청력이라기보다는 마음으로 음악을 읽는 법에 대해 생각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야기에 리듬과 멜로디를 싣는 차이콥스키의 작곡을 듣고 있자면 사실 저자가 들려주는 이상의 차이콥스키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게 한다. 훨씬 더 많은 그의 이야기가 물론 있을 것이다. 오네긴을 듣고 들으면 우리가 알 수 있는 차이콥스키의 말과 생각과 행동과 또 다른 차이콥스키가 느껴진다.

부록은 때때로 또 하나의 단행본만큼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바로 이 책이 그렇다. 19세기의 배경, 러시아의 문화적 배경과 책에 나오는 문화예술계의 인물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음악용어설명, 2장의 CD 수록곡 설명은 기본인데 내가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바로 연표이다. 저자는 연표에 차이콥스키의 생애 연표 뿐 아니라 각 시기의 문화예술의 주목할 만한 뉴스, 서양사를 보기 좋게 배열하고 있다. 이는 차이콥스키의 삶과 음악 뿐 아니라 우리가 같은 시기의 다른 문화예술가를 읽는 데도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이 책의 부록은 책과 CD로만 그치지 않고 웹사이트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게도 하는데 차이콥스키의 연표와 음악외에도 동시대의 러시아의 다른 음악가의 대표곡을 감상할 수 있는 페이지도 있어서 차이콥스키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을 음악을 들을 수 있고 또 그 음악들이 문외한인 내가 들어도 굉장히 아름답고 멋지다. 글린카에서부터 ‘강력한 소수’ 일원들과 알렉산드르 다르고미슈스키까지 책에 나왔던 인물들을 그들의 음악으로 다시 읽는 즐거움이 있을 것이다. 러시아의 민족주의 음악에 대해서도 공부하면서 조금이나마 글이 아닌 귀로 이해하는 독서의 시간이 된다. 특히 차이콥스키에게 작곡을 가르쳤다는 안톤 루빈슈타인의 곡도 접할 수 있는데 그의 많은 곡들이 궁금해질 정도로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그의 작곡세계를 엿볼 수 있다. 또 밀리 알렉세예비치 발라세예비치의 피아노곡은 예노 얀도의 연주인데 또 그 연주가 감동적이다. 많은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과 음악가, 그리고 또 다른 연주자들의 발견은 이 책이 차이콥스키에 그치지 않고 19세기 후반의 러시아 음악에 대한 많은 이야기의 서두를 열어주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