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찬란하고 자주 우울한 - 경조증과 우울 사이에서, 의사가 직접 겪은 조울증의 세계
경조울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2형 양극성 장애를 앓고 있다.

2형 양극성 장애는 1형 보다는 조증이 심하지 않고

우울증이 좀 더 오래간다.

그래서 초기에 우울증으로 진단받기 쉽고

제대로 진단받기까지 평균 십 년 정도가 걸린다.

우울증과 1형 양극성 장애에 비해 자료가 잘 없어서

결국 스스로 쓰기로 했다고 밝히며

느끼고 생각한 바를 진솔하게 적기 위해

필명으로 써야만 했다고 한다.

먹고살아야하니 이해해달라고 하는데

내밀한 개인사라고 여겨지는 디테일들 때문에

그렇게 선택한 것 같다.

조증일 때 에너지와 생산력이 넘치고 매력적인 사람이 되기도 하니

우울증만 조절하면 되는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항우울증제를 잘못 처방하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양극성 장애는 항우울제보자는 기분조절제 계통의 약물을 써야 하고

우울증에 비해 재발이 잦기 때문에 예후가 크게 달라진다고 한다.

대학에 입학해 상담실을 다니면서부터가 주요 내용의 시작인데

상담과 정신분석을 통해

극복했다고 생각했지만

본격적으로 일을 하면서

조증과 울증을 오가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한다.

원인은 선천적, 환경적인 것을 의심해볼 수 있지만

정확히 무엇이다라고 확언할 수 없다고.

우울한 정도는 큰 문제없지 않나?

더구나 저자의 경우

고기능 우울증 환자로 일상은 잘 영위했다고 하니 라고 생각하기 무섭게

울증일 때 행했던 자기 파괴적인 행동들을 설명해주는데

절대로 쉽게 넘어갈 수 있는 게 아니구나 싶었다.

그런데 문제는 타인들은 그 문제 상황을 알아차리기 힘들다는데 있다.

혹시 스스로를 2형 환자로 의심하고 있거나

우울증 진단을 받았지만 통상적인 치료에 효과를 보고 있지 못하다면

이 책에 닿을 수 있으면 좋겠다.

저자의 말대로 한 환자의 사례일 뿐이지만

자신과 비교검토해볼 수 있을테니까

알음알음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잘 알려졌으면 좋겠다.

네이버 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