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만 고개를 돌려도
김정금 지음 / 델피노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객 박연정의 이름이 나랑 비슷해서일까?

아님 이름과 더불어 뭔가 어설퍼보이는 모습 때문일까?

왠지 모를 공감대가 형성되는 묘한 경험을 했다.

보험조사원인 지섭이 이불을 털다 떨어졌다는 박연정의 보험금 청구 건에 관한

조사를 하게 된다.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지만,

케이스를 종료하는 게 더 중요한 지섭은 의문을 해소하기 보다는 일단 마무리 하기를 결심한다.

종료 보고 전에 박연정이 요양병원에서 죽게 되고

집을 나가 연락이 되지 않은지 오래된 여동생의 실종 신고 후

살해용의자로 구속된다.

이야기가 낯설지 않고

예상되는 진행방향을 벗어나지 않아

읽기에 수월하고 속도가 잘 나는 편이다.

하지만 뭔가 거친 느낌이 아쉽다.

주인공 지섭의 상태라거나 범죄자 항변? 같은 것이

생각해보면 납득이 가긴 하는데

읽으면서는 너무 단순 반응 아닌가 싶었다.

보험 범죄에 관해 가끔 뉴스나 드라마 등에서 접하곤 해서

완전히 낯선 소재는 아닌데

관계망이 약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밀러나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보통 대부분의 범죄가 약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한다는 지점에서 굉장히 불쾌한 범죄다.

그런데 더 불쾌한 건

강한 자에게 약하고 약한 자에게 강한 시스템이

이런 범죄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사실 가장 어이없었던 장면은

범죄 장면이 아니였다.

지섭이 동료 보험조사원과

보험청구자가

사회적 파워가 있는 사람이거나

금감원에 고소한다거나 하면 보험금이 지급된다는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였다.

아마도 작가분은 작품을 위해

어느 정도의 취재와 조사를 거쳤을테니

문학적 과장이거나 하지는 않을거다.

두 등장인물이 동일 상황에서 보험청구자의 지위 혹은 파워에 따라

지급여부가 달라지는 건에 대해 의문의 여지없는 단호함으로

주고받는 대화에,

나 역시 시스템의 착취에 매여있다는 사실을 새삼 대면해야 하는 불쾌한 순간이였다.

벗어날 수 없는 불합리를 소재로 하면, 사건은 마무리 되어도

마음은 여전히 어둠에 자리를 내어주게 된다.

네이버 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