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도토리는 없다 - 도서관 소설집 꿈꾸는돌 33
최상희 외 지음 / 돌베개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을 소재로 7명의 작가가 펼쳐내는

책냄새 배인 이야기들.

표제작인 최상희 작가의

[더 이상 도토리는 없다] 는 읽고 나면

왜 이 작품이 표제작인지 바로 설득된다.

도서부의 연례행사. 책의 밤.

책을 읽으며 학교 도서관에서 밤을 보내는 모습은

지나간 학창시절의 기분좋은 두근거림을 떠올리게 한다.

거기에 학교 도서관에 도토리를 숨겨놓듯

지정 자리가 아닌 곳에 숨겨진 책을 찾아 범인을 쫓는 재미까지 추가되어 있다.

범인을 찾기 위해 숨겨졌던 책을 함께 읽고

감상을 나누고

어떤 사람일지 추론하는 즐거움.

혹시 범인은... 하며 희미하게 도토리를 숨기는 자의 정체가 느껴질 때쯤

불안한 행복이 안쓰러우면서도

순간의 기쁨에 슬며시 따라 웃게된다.

도서관이라는 공간이 100% 활용된 이야기라고 느껴졌다.

우아한 거짓말과 완득이의 김려령 작가의 [우리가 아주 예뻤을 때]는

귀염뽁짝한 예쁜 러브 스토리로 좋은 이야기이기는 한데

도서관 이야기라기보다는 방짜 유기 이야기가 아닌가 싶은 게 아쉬웠다.

김혜원 작가의 [황혜홀혜]는

비가 처오는 세상, 돈 없는 사람들이 꼭대기에서 낮은 땅을 쫓겨가는 세상에

종자 보관처럼 책이 보관되는 세상에서

각자의 이유가 담긴 책을 지키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얼마 전 퍼부은 비 속에서 지하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죽은 사람들과

주차장에 갇혀 나오지 못한 사람들이 생각났다.

신현이 작가의 [덜컹거리는 존재]

사이가 틀어진 친구와의 관계에 대한 해답을 도서관에서 찾게 되는 이야기인데

소재를 활용하는 방식이 좀 아쉽다.

전쟁같던 시간에 회사를 다니듯 도서관을 다니며 근무하는 자세로 책을 읽자

전쟁이 끝나고 세상에 평온이 찾아왔다는 작가의 짧은 후기가

사는 곳 가까이 좋은 도서관이 있기를 희망한다는 말이

좀 더 마음에 와닿았다.

이희영 작가의 [책내기]는 인간의 이야기가 책으로 묶여 있는 도서관의 풋내기 관리관과

많은 이야기 책 중 누군가의 이야기다.

막 신선한 설정은 아니지만

지루하게 반복되는 책이라는 삶에 대한 설명이 인상적이였다.

대부분의 삶이 드라마, 영화처럼 엄청난 사건들로 채워져 있지는 않을테니..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지루하겠구나.

꾸준하게 살아가는 삶의 한 방에 위로랄까, 다짐같은 걸 하게 하는 이야기다.

허진희 작가의 [유령이 머무는 숲]

도서관에서 만난 유령을 통해 엄마가 있을 거라는 희망을 찾는 아이.

마지막 구절이 좋다.

"모든 사라진 것들은 도서관에 있다."

[한밤에 만난 두 사람]은 황영미 작가의 작품이다.

엄마의 새로운 연인 때문에 마음이 불안해진 주인공은

매일 엄마와 다툰다.

다툼 끝에 집을 나와 주린 배를 안고 도서관까지 흘러?간 주인공이

어린 시절의 아버지를 만나게 된다는 이야기.

"마음의 안개가 걷혀야 미래가 보인다."

돌베개의 꿈꾸는 돌 시리즈의 다음 작품집은 영화관을 소재로 한다.

길다면 긴 코로나 시간동안 영화관에 대한 느낌이나 이미지도 조금 변화된 것 같은데

그런 것들까지 반영되는 이야기를 만날 수 있을지 궁금하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