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힘들면 몸을 살짝, 움직입니다 - 어느 정신과 의사의 작고 느릿한 몸챙김 이야기
허휴정 지음 / 생각속의집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차 정신과 전문의가

힘든 마음을 들여다보는 몸의 언어를 발견하는 경험에 관한 이야기.

몸 안에서 숨 쉴 공간이 생기자, 마음도 그 공간에서 숨 쉴 수 있었다.

-72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약간 심드렁한 마음으로 읽고 있었다.

그러다가 움추르렸던 어깨를 펴고

가슴을 열어서 편안하게 숨쉬게 하자

초초하던 마음이 달래졌다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내 가슴을 펴며 크게 숨을 쉬기 시작했다.

그리곤, 이 책이 마음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나도 모르게 내 몸이,,, 내 다리가 스스로 진료실로 걸어가고 있는 거예요. 아, 내가 살고 싶었나보다. 정말 살고 싶었나보다 생각했죠.

-173

그리고 끊임없이 나에게 말을 거는 내 몸에 대해 생각했다.

당장 내일이 아쉽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생명을 이어나가는 식욕과 수면 등의 욕구에 목소리를 높이는 녀석.

몸의 나는 마음의 나의 학대에 열심히, 열심히 저항 중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자.

안쓰러워졌다. 몸의 내가.

몸은 나에게 사람에 대한 친근감과 연민을 가르쳐준다. 몸으로 만나는 자리에서는 누구라도 그저 몸을 가진 한 사람일뿐임을 깨닫는다.

-193

하지만 분명, 이 몸이 갈 수 있는 곳과 가지 못하는 곳은 여러가지 이유로 정해진다.

그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허울을 통과한 비슷한 허울을 쓴 사람들끼리의 밑낯이다.

천천히,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배우기 시작하자 그녀의 몸이 그녀를 위로해주었다.

-205

길을 걷다보면 공황발작이 올까봐 두려웠어요. 혼자 남겨질까봐. 혼자 남겨져서 주저앉아 아무것도 할 수 없을까봐 무서웠어요. 그런데, 내 몸이...... 이렇게 움직이는 내 몸이 그 무서운 순간에도 여전히 함께하고 있었어요. 그게 큰 힘이 돼요.

-220

요가와 소마틱스를 접하고

상담과 접한 소마 움직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이야기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

혹은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그렇게 방법적인 것을 우선했다면

어쩌면 거부감이 들었을지도...

과정들 속에서 어떤 마음이였는지

함께 참여한 사람들이 했던 말도 담담히 전해지면서

그 이야기들에 나를 놓아볼 수 있었다.

막 기적같은 효과가 일어났다는 간증은 없지만,

나를 느끼기 시작했다는 기적같은 고백들이 있었다.

그리고 온전히 나를, 살펴보고 나와 이야기한다는 게 어떤 걸까 라고 상상해보게 했다.

꼭 저자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요가, 소마틱스를 배우러 다닐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내담자들에게 하는 말처럼

바르게 앉아

사물에 닿는 내 몸을 의식하고

바르게 펴주며

몸 안에 숨 쉴 공간을 내어주는 것부터

나와 인사를 나눌 준비가 시작된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