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어들 - 전설 신화 속 신비한 인어를 찾아서 고래동화마을 11
차율이 지음, 가지 그림 / 고래가숨쉬는도서관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 전해오는 인어에 관한 이야기를 모은 설화집?

바다와 인어를 좋아하는 작가님이

인어 소녀라는 이야기를 쓰기 위해

수집했던 옛 이야기들을

풀어 책으로 엮었다.

인어하면

안데르센과 디즈니의 인어공주를 떠올리게 되는데

우리의 아름다운 인어 이야기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묶여 나와 반갑다.

이 이야기들이 기반이 되어

우리도 디즈니의 인어공주 같은

우리의 인어 이야기를 만날 수 있게 되면 좋겠다.

'푸른 바다의 전설'이라는 드라마가 우리나라의 인어 이야기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던 듯.

관련된 설화도 이 책에 실려있다.

우리의 인어들은 좀 착하달까?

외국의 세이렌 같은 인어들은 목소리로 유혹해서 죽이기도 하던데

우리 인어들은

잡히면 눈물이나 뚝뚝 흘리고

구해주면 고맙다고 은혜갚기는 꼬박꼬박한다.

심지어는 애까지 낳아다주다니. ㅎㅎㅎ

총 열가지의 이야기가 실려있는데

그 중 자산어보 이야기도 있다.

자산어보에 인어가 기록되어 있었다니.

왠지 환상의 존재가 아니라 진짜 있는 건 아닐까 하는 기대가 생긴다.

가장 신선했던 건

거문도에서 내려오는

신지께가 된 은갈치 이야기다.

신지께는 인어를 지칭하는 또다른 이름이다.

뭍으로 올라가고 싶었던 은갈치는

용왕이

100년간

사람처럼 눈을 감고 자고

서서 걷고

사람이 먹는 미역을 먹으면

사람이 될 수 있다는 말에 당장 시작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몸의 반이 사람처럼 변했는데

깊은 바다를 뒤흔드는 땅울림이 있던 날,

무서움을 이기지 못하고 실눈을 뜨고 잠들었는데..

그 후로 더이상 사람으로 변하질 않게 되었다.

억울하지만 방법이 없었던 은갈치는

바다 위로 올라가 사람들을 훔쳐보고는 했는데

날이 좋지 않아 위험한 날 배를 타고 나오려고 하면

경고를 해서 사람들이 바다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시간이 흐르며 사람들은 은갈치의 선의를 알게 되고

신지께라고 부르며 애정과 호의를 보여주었다.

인어공주 이야기가 언듯 떠오르지만

좀 더 아이스럽달까,

오로지 호기심과 바다 속의 무료함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으로

뭍으로 올라가고 싶어했다는 점이 엄청난 차이점이다.

심지어는 특별히 사람이 되고 싶었던 것도 아니다. ㅎ

결과적으로 반이 사람으로 변해서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게 되면서

신지께라는 이름을 얻고

만족하게 되었다는 지점은 옛이야기지만

뭔가 익숙한 메세지를 담고 있기도 하다.

도움을 주는 존재가 되고

이름을 얻어 존재를 인정받게 되자 만족하는 삶.

관계맺기라는 단어가 떠오르는 지점이다.

삶의 무료함은 관계에 답이 있다는 걸까?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