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들여진, 길들여지지 않은 - 무시하기엔 너무 친근하고 함께하기엔 너무 야생적인 동물들의 사생활
사이 몽고메리.엘리자베스 M. 토마스 지음, 김문주 옮김 / 홍익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물에 관한 각별한 애정과 지식을 지니고 활동하는 두 여성 작가가

<보스턴 글로브>라는 매체 공동으로 연재한 칼럼을 다듬어 엮은 책이다.

날카로운 눈빛의 고양이가 인상적인 표지다.

얼핏 공격적인 동물들의 이야기인가 싶은 분위기이기인데

본문은 전혀!

오히려 동물들은 인간들에게 큰 관심이 없을지도... 라는 느낌이 더 강하달까.

두 저자는 인간이 유일하게 인식을 발전시켜온 유일한 포유동물이라고 여기는 것은

인간의 오만이자 완전한 착각이라고 말한다. 그저 인간은 다른 동물, 심지어는 곤충까지도 잘 모를 뿐이다.

모르는 존재를 자신보다 저능하다고 단정짓는 오만은 인간들 사이에서도 종종 자행되지 않나?

1장은 우리에게 익숙한 개나 고양이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는데

그 중에서도 개의 훈련에 관한 이야기가 인상적이였다.

개가 인간의 훈련을 따라오지 않을 경우 지능 혹은 이해력이 부족하다고 여기는 성향이 있는데

같은 종족의 선배에게 배울 때 가장 빠르고 자연스럽게 배운다는 것은 개 뿐 아닌 인간도 마찬가지 아닌가!

동족에게 배우는 인간이 다른 종에게서 무언가를 배우는 것의 어려움을 이해할 수 있을까?

개의 관한 이야기만은 아니지만

"동물들은 자신의 조건에 불안해하거나 징징거리지 않는다. 또한 어둠 속에서 잠을 이루지 못한 채 자신의 죄악 때문에 눈물을 흘리지도 않는다."

라는 시인 월트 휘트먼의 말로 요약될 수 있는

장애견에 대한 이야기도 마음에 와닿았다.

책에서 든 사례견들 외에도 우리나라 동물 프로에서 장애가 있어도 끗끗하고 활기차게 살아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사회의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가끔 정서적인 문제를 보이는 동물들이 있는데, 그들의 문제는 신체적인 문제보다는 관계에서 기인할 때가 많다.

만약 동물의 사회가 장애를 가진 자를 터부시하는 문화가 있었더라면

인간처럼 괴로워하지 않았을까?

우리가 배워야할 것은 장애 앞에 당당한 정신이 아닌

장애를 다름과 차별의 요소로 여기지 않는 건강한 관계가 아닐까 싶다.

2장부터는 개와 고양이를 벗어나 다양한 동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문어에 관한 이야기가 종종 나오는데,

문어라는 존재에 대해 모르던 이야기가 잔뜩 나와서 재미있었다.

지능이며 감정이며, 관계맺기에 대한 이야기까지.

이렇게 특별한 존재였다니!!! 문어에 대한 애정과 궁금증이 생겨난다.

다양한 캐릭터를 지닌 뱀에 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문어, 뱀, 사자, 달팽이, 기린 등등 다양한 동물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통해 공통적으로 전해지는 메세지는

이 지구 위의 생명체들 중 인간 이하의 존엄을 지닌 존재는 없다. 라는 것이다.

생명을 지닌 존재로서

지구를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서

인간이 그들을 이해 못했을 뿐

그들의 규칙과 감정이 있는 존재라는 것을 염두해두고 존중하기를 권하고 있다.

생명에 대한 존중감이 없는 자들이 꼭 한 번 읽었으면 싶다.

뭐,.. 읽는다고 변할까 싶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