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것은 모두 싸움을 한다 - 진화생물학이 가르쳐주는 궁극의 생존 기술
미야타케 다카히사 지음, 김선숙.정진용 옮김 / 더메이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에서의 싸움은

살아남아 자손을 남기는 것을 말한다.

생물들로부터 배우는 '살아남기 위한 지혜'가 정리되어 있다.

그런데, 그 지혜들이 모두 놀라울 정도로

인간이 삶을 영위해나가는데 있어

생존을 지키는 방법들과 결을 같이 하고 있다.

읽으면서 뭔가 면죄부?

이러한 방법들은 생존을 위한 놀라운 전략일 뿐이라는 기운찬 위로를 받는 느낌이였다.

결정을 뒤로 미루는 '지혜'를 이야기하며

회사에서 자발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위험부담을 피하려는 직원에 대해

그들은 옳고 최적의 생존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오히려 관리자에게 전략적 뒤로 미루기를 하는 직원과 아무 생각없이 빈둥되는 직원을 구분하는 능력을 기르라고

충고한다.

그러면서 조직의 절멸을 피하기 위한 개개의 능력 변이는 필수이며 이것은 36억년 동안 영고성쇠를 되풀이한 생물계의 상식이라고 멋지게 선언하는 것이다.

단지 변명을 위한 변명이 아니다.

대기업과 같은 조직에서 모두가 달릴 필요없다는 말이 생물들의 생존법칙과 멋지게 어울리며 정리된다.

휴식의 전략을 이야기하면서 인간에게도 번데기의 기간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생물학적으로 납득되는 시기인 사춘기를 그 시기로 설명하고 있는데, 좀 아쉽기는 하다.

본문 내용대로 적극적으로 쉬는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진화생물학적인 정답이라면.

평균 수명이 늘어난 지금, 인간은 사춘기, 아이에서 어른이 되는 시기만이 아닌

어른에서 노인?이 되는 시기에도 번데기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가장 하일라이트는 기생 파트였다.

약자가 자립을 목표로 하는 것은 잘못된 전략이라는 헤드 카피부터 두두둥 머리를 두드리더니

운명은 좋은 반려자에 의해 결정된다에서는 머리가 활짝 열려 시원한 바람이 흐르듯 뭔가

시원해지는 느낌이였다.

기생 쪽의 삶이 아닐까 생각하던 자에게 과학적 당위? 같은 것을 주는 느낌?

물론 기생관계보다는 공생 관계로 나가야 한다고 마무리 되어

당위는 퇴색되었지만 뭔가 시원시럽다. 고 느껴졌다.

생물들의 이야기가 주를 이룰 것이라 생각했던 것에서 상당히 다른 방향이였지만

생물들의 생존 전략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찾아보는 작업은

무척이나 즐겁고 유익했다.

이과적 사고의 맛을 봤다고 생각해도 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