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우스터
김호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망원동 브라더스, 연적, 고스트라이터즈의 작가 김호연.

소설뿐 아니라 실험인간지대라는 만화스토리 작가,

이중간첩이라는 영화 시나리오 작가이기도 한 전천후 이야기꾼.

장르를 오가는 이야기꾼들을 보면

그 화력이 궁금하다.

망원동 브라더스는 대학로에서 연극 포스터를 종종 봤었는데

파우스터와는 전혀 다른 느낌의 이야기라 어떻게 풀어냈을지...

다른 작품들도 궁금하다.

다 읽는데 5시간쯤 걸렸나?

등장인물들의 욕망이 강렬해서 빨려들어가듯 읽어내렸다.

메피스토라는 회사가 있다.

돈많은 늙은이들은 파우스트라고 불리우며

연결체를 통해 젋은이들의 삶을 공유한다.

그리고, 막대한 돈을 이용해 젊은이의 삶을 조정한다.

그 젊은이들은 파우스터라고 불린다.

한국지부에는 아직 30명이 채 안되는 파우스트들이 있다.

연결체라는 감각공유기계의 유무는 믿기지 않지만

저 메피스토의 시스템 자체는 그럴싸한 현실성을 가지고 있다.

작중에서도 연결체가 개발되기 전에는

감시카메라와 도청 등을 통해 파우스터의 일상을 감시해왔다고 말하기도 하니까.

제 2의 인생을 사는 듯한 파우스트의 환의.

내 삶을 살고 있지 못하다는 파우스터의 절망.

굉장히 흥미로운 이야기이기는 한데...

내가 해보지 못했던 것을 대리해서 하고 마치 내가 이루어내듯이 느낄 수 있다는 걸...

잘 모르겠다.

누군가에 대한 완벽한 통제를 상상하지 못하는 걸까?

아무리 그래도.... 내가 아닌데...

심지어는 만나거나 이야기를 나눌 수도 없는데...

메피스토 구성원의 찬사를 받으면 만족할 수 있나?

내가 이렇게 만들었어!

라면서?

파우스트의 욕망이 이해는 간다.

하지만, 나라면? 이라는 마음이 들기는 한다.

그들처럼 넘치게 돈이 있지도 않고

누군가를 통제해본 경험도 없어서 인지도.

파우스터들은 뭐가 문제가 될까 싶기도...

파우스트들은 자신의 욕망과 일치하는 욕망을 지닌 파우스터를 골라

지원한다. 그 욕망을 이루도록.

나의 모든 것을 들여다본다는 건 끔찍한 일이지만

모른다면??

나의 욕망을 위한 지원이 싫은가?

쩝...

물론 그 와중에 소중한 사람들을 잃게되는 일들이 있기는 하지만...

흠.....

파우스터가 없었으면 안 잃었을까?

라는 생각이 드는 건,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절대적 지지를 무시하는 수준낮은 의문이겠지? ㅋ

여튼! 결론은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