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수 없는 나 - 나도 모르는 나의 존재에 대하여
와시다 기요카즈 지음, 김소연 옮김 / 문예출판사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나 자신에 대한 확신이 없다.

방향성, 선호까지.

굉장히 색깔이 선명해보이는 주변인을 만나면

이런 스스로에 대한 불안감이 올라오곤 한다.

제목과, 접근법 모두 헷갈리는 나를 위한 책을 만난 기분이다.

가장 기본이 되면서, 신선했던 건

타인이 있어야만 "나"가 존재할 수 있다. 는 개념이다.

내가 가진 얼굴들은 타인으로부터 부여되는 것이며

타인의 존재없이는 얼굴을 가질 수 없다.

참 나, 영적인 존재로서의 나라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누군가와 구분되어

내 안에 있는 것이 무엇일까를 고민하던 입장에서는 참으로 허무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읽다보면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였는데

왜, 새삼 이렇게 깨닫고 마는 것일까 싶다.

그러니, 우리는 다중 정체성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각각의 사람들을 대할 때 조금씩 변화하는 나는,

당연한 것이다.

스스로 나의 정체성을 지키지 못한다고 생각할 이유가 없었던 거다!

'나다움'이라는 것은 다양하며 변화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저자는 '나다움'의 강박에서 벗어나라고 이야기 한다.

그러면서 미성숙한 나에게도 유연하게 대응하라고 한다.

성숙과 미성숙의 기준점 또한 모두에게 다르니까.

무엇보다 중요한 이야기는

타인에게 하나의 아이덴티티를 강요하지 말고

자신의 아이덴티티 또한 타인에게 맡기지 말라고 이야기한다.

언제라도 어떻게든 아이덴티티란 변화하는 것이니까.

타인이 규정하는 나에 대해서는 언제나 의심해봐야 한다.

정말, 나를 관찰한 결과인지

타인의 의도가 반영된 것인지.

아마도 말로, 문장으로, 정리된 용어로 이야기 하지 않았을 뿐

살며서 여러 번 겪었을 상황이고

나름의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점검해봐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변화하는 나의 감정과 의자에 충실히 반응하고 있는지.

저자가 강조하고 싶은 이야기들은 굵은 글씨로 티를 내고 있어서

따라서 밑줄치기 같은 분위기다.

재미있는 책이였다.

나를 안다는 것에 대한 개념을 배워나가는 것도 재미있었지만

너는 널 안다고 생각하느냐

정신은 커녕 몸도 모르지 않는냐. 아픈 너의 몸 안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너는 아느냐.

이제는 출생의 방식이 바뀌고

가족의 개념이 바뀌고

나를 규정하는 기준들이 바뀔 것이다.

등등 알고 있다고 생각했으나 미처 보지 못했던 부분에 대한 이야기들을 읽어나가는 것 또한 즐거웠다.

이런 책을 보다보면 생각을 나누고, 다투는 일의 즐거움이 느껴진다.

오묘한 생각의 가지들을 정리하고 말로 표현하는 법. 을 익히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