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 딱 좋은 고독 매일 읽는 철학 2
예저우 지음, 이영주 옮김 / 오렌지연필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쇼펜하우어 라는 철학자를 좀 움울하고 시니컬하고, 반사회적인 느낌의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제대로 관련 서적을 읽어본 적도 없다보니

파편적으로 만나게 되는 문구들을 보면서 그런 이미지가 생성됐던 거 같은데...

이 책을 읽고 보니

뭐야 뭐야 엄청 진지한 모범생이였어. @@;;;

회피하거나 절망하는 캐릭터가 아니라

어떻게하면 열심히 살 수 있는지를 굉장히 현실적으로 고민하는 캐릭터였다.

우아...

역시 대충보면 안되는 거다. ㅎㅎㅎㅎ

좀 창피하기도 하네. ㅎㅎㅎㅎ

예저우라는 분이 또, 동양 사상가들의 예를 함께 들어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게 서양철학의 낯섬, 차가움?을 좀 희석해주는 효과가 있어서

꽤나 편안하게 읽었다.

사실상 쇼펜하우어의 저서 자체를 읽어서 이해할 자신이 없다보니

이런 해설서? 를 통해 접하려고 하는데,

편집자? 통역사? 역활을 하는 저자의 자세와 전달방식이 취향에 맞아야만

본래 알아보려고 했던, 이야기에 대한 호감도가 올라가게 된다.

쇼펜하우어에 한해 그런 것인지 예저우님의 글은 나름 개인적인 취향에 잘 들어맞는 듯 하다.

동일 출판사에서 니체에 관한 책도 출간되어 있는 것 같은데 그것도 찾아봐야겠다.

쇼펜하우어는 딱 좋은 고독, 니체는 누가 당신의 인생을 그저 그렇다고 하는가 ...

제목부터 취향이다. ㅎㅎㅎ

전체적으로 의외로 건전하고 바른 맨이였다는 느낌이긴 한데

초반의 이야기들이 특히 그랬다.

"사람 무리와 섞여 지내지만, 무리의 완전한 일부가 되어서는 안 되며, 사람들과는 최대한 객관적인 관계만을 유지하라."

진짜 나이스한 조언이다.

제목 그대로 딱 좋은 고독의 상태를 만들 수 있는 조언이랄까.

근데 문제는 어렵다는 거. 앞도 뒤도.

뿐만 아니라

사물에 대한 이해가 일에 대한 결과를 직접적으로 결정한다는 이야기도.

이거 자기 개발서에 나오는 이야기잖아!

ㅎㅎㅎ

외부 사물은 사람의 행복에 간접적인 영향만 줄 뿐이며, 내면의 소실이 중요하다.

긍정적인 인간상을 이야기할 때 항상 나오는 이야기인데.

쇼펜하우어가 한 이야기였군요. 쩝.

자기개발서들은 철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건가?

여튼, 왜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좀 부정적인 이미지로 기억하고 있던 쇼펜하우어에 대한

생각을 수정할 수 있는 좋은 독서였다. 그리고, 꽤나 긍정적인 메세지들을 통해 철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