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고 거대한 뜻밖의 질문들 - 생명의 탄생부터 우주의 끝까지
모리 다쓰야 지음, 전화윤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재미있는 인터뷰집은

답하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도 지대한 영향을 받지만

질문하는 사람의 명확하고, 방향성 있는 질문이 그 질을 상당히 좌우한다.

저자의 직업(다큐멘터리 감독)이 떠오르는 구성이다.

다만 다큐멘터리는 영상 편집과 구성을 통해 감독, 작가의 의사가 전해지는 반면

(나레이션을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다큐도 있기는 하지만......)

이 책의 경우 직접적으로 저자의 생각이 전해진다.

그런데, 제목이 왜 이럴까?

딱히 이상하지도 않고 뜻밖이지도 않은데? 거대하기는 하다만.

인간은 왜 죽는지

인간은 어디서 왔는지

진화란 무엇인지

살아있다는 건 무엇인지

죽음을 결정하는 건 누구인지

우주에는 생명이 있을지

우주는 앞으로 어떻게 되는지

나는 누구인지

뇌는 왜 이런 질문을 하는지

과학은 무엇을 믿는지

가 이상하고 뜻밖인가????

제목의 의도를 모르겠다.

하여튼 위와 같은 질문들을 과학계의 지성들에게 던지고 이어간 문답들이 정리되어있다.

위 질문들은 가끔, 아주 가끔 한번쯤 떠올려봤던 의문들 아닌가?

하지만, 결국 답없는 생각의 회전속에서 언제나 마무리 되지 않는,

혹은 답은 없는 질문들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왔던 거 같은데.

과학계의 지성들이라면!

굉장히 굉장히 명확한 답을 1+1=2 와 같은 답을 줄 수도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게 되는 거 같다.

(언제가 1이라는 숫자의 공허함. 존재치 않고 그저 인간이 부여한 의미이며 약속일 뿐이라는

누군가의 현학적인양 던진 허무함의 공을 받은 적이 있기는 한데, 잠시 잊고 형용사로 사용해본다.)

그런데, 과학자들의 답들도 참,

문학적이면서, 모호한 설명들도 좋아하는 것 같다.

누가 죽음을 결정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다누마 세이치의 경우도

유전자의 관점에서 인간의 신체가 '꿈의 여관'이라는 식으로 설명을 한다.

물론 유전자 중심의 설명이 이어지기는 하지만,

저 단어를 듣는 순간 그다지 과학적이지 않은 판타지적 상상이 머리를 지배하게 되는 건 어쩔 수가 없었다. ㅎㅎ

그리고 여전히 완벽한 답을 가지고 있지 않은 과학자들은

어떤 문과적 상상력을 지닌자들보다 더욱 상상력을 가지고 있어야 겠다는 생각이 드는 질의응답들이 이어진다.

근원을 찾고 찾고 찾는데, 여전히 닿지 않은 답을 향해 수없이 많은 다리를 짓고 부수고 있는 존재들인 것이다.

우주생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나가누마 다케시에게서 소개받은 서관충처럼 문명 지구에 존재하는 생명인데도 명확하게 알지 못한다. 그런데 우주 생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에 대해 지켜보고 있자니

과학이란 내가 알던 것이 아닌 것 같기도 하고. ㅎㅎㅎㅎ

각각의 질문들과 답에 대해 생각을 정리하고 내용을 정리해두면 좋겠지만

그저 텍스트를 따라 읽는 것만으로도 헉헉. 쉽지 않았다.

낯선 단어와 개념들이 쏟아져서...

문과인간이라고는 사용하는 단어와 개념의 체화도가 확연히 차이가 있다.

저자 모리 다쓰야는 흠, 그래도 알고싶어하는 인간인 것이다.

나는 그렇지 않다고 말하는 건, 좀 속상하다.

비슷하지만 게으른 사람이라고 말해야겠다.

재미있게 읽었다.

하지만, 이해했다고는 말하지 못하겠다. ㅎㅎㅎㅎ

반복 읽기가 필수인 책이다. 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