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하는 대한민국 호 - 개정판
김후용 지음 / 출애굽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박근혜 정부가 선거로 당선된 선거 자체가 검표기의 오류가 존재했다는 것을 이유로 투표용지 수개표를 주장하는 내용입니다. 박근혜 정부가 한창일 때 지인으로부터 선물로 받았지만, 황당한 내용이라 읽지 않다가 지금 조금 읽고 있습니다.

참고로 우파들도 비슷한 근거로 문재인정부 하에서 선거에서의 부정을 문제제기하며 수개표를 요구하고, 나아가 사전투표가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선거참관요령 및 참관후기도 부록에 나와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별하지 않는다 - 한강 장편소설
한강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주도 4.3항쟁 피해자 이야기를 넘어서 보도연맹 사건 희생자 이야기까지 여러 이야기가 나와서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미국, 구속력 없는 안보리 결의안에도 기권: 라파흐 공격 반대한다면서 이스라엘에 무기 지원한다

〈노동자 연대〉 498호가 나왔습니다
ws.or.kr/tg

👉 유엔 안보리 휴전 결의안 채택: 라파흐 지상전 앞둔 이스라엘에 이데올로기적 타격
https://ws.or.kr/tg/32458

👉 바이든과 네타냐후의 화음 속 불협화음 — 둘의 갈등은 하마스 제거 방안을 둘러싼 것이다
https://ws.or.kr/tg/32454

👉 이스라엘의 식민 정착자 지배의 위기
https://ws.or.kr/tg/32419

👉 모스크바 공연장 공격에 대한 서방의 이중잣대
https://ws.or.kr/tg/32457

👉 여성과 이슬람
https://ws.or.kr/tg/32448

👉 국정원의 윤석열 퇴진 집회 사찰 폭로: 윤석열 정부가 민주주의 운동가들을 밀착 감시하고 있다
https://ws.or.kr/tg/32455

👉 [기획 연재] 팔레스타인, 저항, 혁명 ─ 해방을 향한 투쟁 ⑧: 팔레스타인은 어떻게 해방될 수 있을까?
https://ws.or.kr/tg/32449

👉 국정원의 대공수사권 복원하려는 윤석열
https://ws.or.kr/tg/32461

👉 안보 수사에 대한 자유주의·사회민주주의의 침묵
https://ws.or.kr/tg/32462

👉 서평 《교육개혁은 없다》: 오랜 교육 운동가의 따끔한 일침 “교육개혁은 사회개혁과 함께 가야”
https://ws.or.kr/tg/32456

👉 미국, 안보리에 “휴전” 결의안 제출?: 휴전 지지한다면서 휴전 요구하지 않는 위선
https://ws.or.kr/tg/32452

👉 예루살렘 현지 팔레스타인인이 말한다: 이스라엘이 알아크사 사원을 유린하고 있다
https://ws.or.kr/tg/32445

👉 가자지구에서 학살을 멈추지 않겠다는 이스라엘과 서방
https://ws.or.kr/tg/32444

👉 [현장 영상] 이스라엘은 라파에 지상군 투입 말라! 27차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와 행진
https://ws.or.kr/tg/32460

📰 구독

📺 노동자연대TV https://youtube.com/@ws-tv
📱 안드로이드·아이폰 앱 ws.or.kr/s/app
📮 매일 뉴스레터 구독 ws.or.kr/tg/email
⚡️ 텔레그램 구독 ws.or.kr/s/tg
🗞 종이신문 구독 ws.or.kr/tg/s
👉 후원(일시·정기) ws.or.kr/tg/d

〈노동자 연대〉를 구독하고 후원해 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Book] 순수이성비판 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 11
임마누엘 칸트 지음, 이명성 옮김 / 홍신문화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용이 방대하고 흔히 철학책으로 인식되는 것과 다르게 자연과학적인 내용도 많아서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래도 다 읽은 것만으로 의미가 있었다. 담에는 해설서도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31915611
<아르떼>마지막조차 예술이 되는 곳…고목에도 싹이 돋는다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1층에 설치된 6m 높이의 배롱나무. 100여 년을 살다가 생을 마감한 배롱나무는 앙상한 가지만 남은 모양새다. 영상이 시작하면 제주의 계절을 따라 매화와 유채, 벚꽃이 피고 진다. 주위에 펼쳐진 갓난아이와 어린이, 노인 등 주민들의 영상을 배경으로 조용히 자신의 순간을 기다린다. 잔뜩 만개한 나무는 담담하게 꽃잎을 떨어뜨리며 다시 겨울을 맞이한다.
====
서울 살기에 못 가지만 공유하고 싶어서 올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