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원 맥주 유럽 역사를 빚다
고상균 지음 / 꿈꾼문고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얇지만, 맥주의 유래와 더불어 역사를 설명해서 배울 게 많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 - 희망과 배신의 100년
토니 클리프.도니 글룩스타인 지음, 이수현 옮김 / 책갈피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두꺼운 책이고, 다른 전공 서적도 읽어야 하기에 부담되어서 이제야 읽는다. 하지만, <한국어판에 붙이는 서문>의 블레어의 신노동당의 성공 당시에 책이 쓰여진 배경을 개정판에서 읽기는 힘들기에 후회는 없다.(그래서 개정판의 서문이 더 기대된다.) 그리고 1장에서 노동당 이전 여러 노동조합에 기반한 독립노동당이나 지식인에 기반한 사회주의 조직 페어비언 협회의 이데올로기적 특징이 철저히 자본주의에 비판적이지 않고, 때때로 노조 투쟁 혹은 사회주의 조직이 성장하지 않는 걸 반기거나, 부르주아 정당인 자유당과도 협력이 가능했다는 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부는 기독교에 기반한 믿음을 갖기도 했다. 레닌이 영국 노동당을 ˝부르주아적˝이라고 규정할 만했다.
그 중에서도 페이비언 협회의 주도적인 지식인인 시드니 웹 부부가 스탈린의 소련을 방문하고, 노조가 철저히 국가에 종속된 소련의 특징을 자신들이 바라는 것이었다고 설명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사실 자본주의는 물론, 개혁주의의 토대인 기존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권력을 분쇄해서 탄생한 볼셰비즘을 공산당 간부들만의 사회주의로 만들어버린 스탈린주의는 ˝대표적인 위로부터의 사회주의˝인데, 국가를 개혁하기 위해 아래로부터의 노동조합 운동이 얼마나 노동자들을 잘 통제할 수 있는지 입증했던 웹 부부가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본 것은 사회민주주의와 스탈린주의가 ˝위로부터 사회주의˝라는 유사성을 잘 보여줬기 때문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재원 2020-12-05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정판 [북플]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를 읽고 싶어합니다. 더보기
https://bookple.aladin.co.kr/~r/feed/464502857
 
콜드브루 별 헤는 밤 디카페인 (원액) - 500ml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콜드브루 커피는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 - 창당부터 코빈의 부상과 좌절까지, 개정 증보판
토니 클리프.도니 글룩스타인.찰리 킴버 지음, 이수현 옮김 / 책갈피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빈 전 대표와 오늘날 노동당 역사도 다루니까 더 읽고 싶다. 한국의 사회민주주의자들과 사회민주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려는 진보좌파들에게도 정말 유익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2월 1일은 국가보안법이 제정된 지 72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책갈피 출판사는 1998년과 1999년 두 차례에 걸쳐 국가보안법으로 탄압받은 적이 있습니다. 《마르크스의 혁명적 사상》을 비롯해 11종의 책이 이적표현물로 낙인찍혀 당시 대표 홍교선 씨가 두 차례 옥고를 치러야 했습니다. 이 때문에 수많은 출판인, 서점인, 인권단체가 모여 ‘사상과 출판의 자유 쟁취와 책갈피 출판사 대표 홍교선 씨 석방을 위한 공동대책위’를 결성해 석방 캠페인을 벌였고, 일부 대학가에서는 《마르크스의 혁명적 사상》을 제본해서 돌려 읽는 ‘국가보안법 불복종 운동’이 벌어졌습니다.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김대중 정권 시절이었는데도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인권 변호사 출신이 대통령이 되고, 《국가보안법 연구》의 저자가 서울시장이 되고,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위하여》의 저자가 청와대 민정수석이 돼도 왜 국가보안법 문제에 침묵할까요? 왜 이석기 전 의원은 여전히 감옥에 갇혀 있을까요?
《최근 한국 현대사》은 1장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이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구입 안내)
인터넷교보 ☞ bit.ly/최현사교보
알라딘 ☞ bit.ly/최현사알라딘
예스24 ☞ bit.ly/최현사예스

#국가보안법 #최근한국현대사 #이석기 #카를마르크스의혁명적사상

"1997년 IMF 경제공황 속에서 집권한 김대중 정부는 전통적 억압
구조를 이용해, 아래로부터 치솟은 노동자 저항을 제압하고자 했다.
당시 김대중 대통령은 "경제 위기 때문에 국가보안법이 필요하다"고
말해 보안법의 진정한 용도가 무엇인지를 드러냈다. 당시 국제앰네
스티 사무총장 피에르 사네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보안법과 경
제 위기를 굳이 연관 짓는다면, 유일한 가능성은 경제 위기로 인한
사회적 불만을 억누르는 데 보안법을 이용하겠다는 의도뿐이다.‘" - P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