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식이 생생한 한국사 - 회전퍼즐퀴즈로 풀어가는 ㅣ 상식이 생생한 시리즈
박영수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회전퍼즐 퀴즈로 풀어가는
상식이 생생한 한국사
추수밭
박영수(테마역사문화연구원장)지음
요즘 우리집의 풍경이다.
아이들은 앉아 있고 (어디든) 엄마는 상식이 생생한 한국사 책을 들고 아이들을
따라다니며
문제를 내고 있다.
(김만중이 한글로 쓴 소설로, 명나라를 배경으로 사 부인과 교씨 간의 처첩 갈등을 그렸다.
)
김만중만 나오면 구운몽, 사씨남정기가 나온다.
그럼 다음문제~


안방이고 작은방이고, 차에서도 퀴즈로 시간을 보낸다.
직접풀기도 한다. 틀린문제는 뒤에 설명이 나오거나
정답밑에 설명이 나오니 아이들이 이해시키기도 한결 수월했다.
어려운 없이 푸는놈이 있는가 하면 큰놈만 잔득맞추어 작은 놈에게 일부러 기회를 주기도
한다.
큰놈이 눈치가 영 없어서 눈을 그렇게 찡긋거려도 맞추기 일쑤라 화가 살짝 나기도 한다.
그렇지만 아는것도 죄인가 맞추겠다는데 구박할수도 없고 그저
연필과 책을 주어 직접풀어보게 하거나 따로따로 퀴즈를 낼뿐이다.


직접 풀어보라고 했더니 어떻게 적어야 해? 하고 물어본다.
내가 문제낼때는 몰랐던 상황이 벌어진다.
출발부터 하여 아래쪽은 거꾸로 쓰여지면서 이상하게 된다. 헷갈리다는 말이 맞을지도 모른다.
내가 직접 풀어 보니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할수 있었다.
평소에 낱말풀이를 좋아해서 자주하는데
이것을 약간의 변형이라고 볼수 있다.
큰놈과 작은놈에게 경쟁을 붙어 놓았더니 시간과 맞춘개수를 살펴보니 거의 비슷하다.
그러면서 하나 더 맞춘 큰놈이 어깨를 으스대면 잘난척이다.
꿀밤을 쌀짝 주었더니 혓바닥을 낼롬 내민다.




문제 한번 풀어 보자 (아이들이 몰랐던 문제)
1. 수나라 30만 대군이 침입해왔을때, 살수대첩을 승리로 이끈 고구려 장군
2.이승만이 지지 기반으 넓히고자 1951년 만든 정당
3.고려 성종 때인 992년에 설치한 국립대학
4.국한 제도를 본떠 선현을 제사 지내고 유생들을 교육한, 경상북도 영주에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아이고야. 엄마도 모르겠다.
아이들의 한국사를 모르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엄마도 모르겠다. 공부를 해야겠다.
애들아 엄마랑 같이 풀자 했더니
자기가 먼저 문제를 내겠다고 나서는 통에 한동안은 한국사에 푹 빠져 살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맞추는 재미를 높이기 위해서 어려운것은 빼고 문제를 내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