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에게 묻고 싶은 것들 - 세상의 모든 아들과 아버지를 위한 시간
빈센트 스태니포스 지음, 이종인 옮김 / 맛있는책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아버지에게 묻고 싶은 것들

맛있는 책

빈센트 스태니포스 지음

이종인 옮김

 

아버지 이야기를 어떻게 꺼내야 할까 생각해 본다. 어려서부터 이야기를 하자면 나는 아빠의 껌딱지 같은

존재 였다. 아빠가 그만큼 이뻐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조금만 생각해 보면 아빠가 나를 무책임하게

키우지 않았나 싶은 생각도 든다.

한창 공부하고 책보고 놀아야 하는 시간에 아빠는 우리를 들로 산으로 논으로 밭으로 데리고 다니셨다.

어려서는 그것이 아빠의 말씀을 거역하면 아빠가 주는 밥과 잠자리, 그리고 옷도 못 입고 쫓겨난다고 생각했다.

그만큼 아빠의 무섭게 우리를 키우셨다. 그러면서 우리에게 사랑 또한 많이 주셨다. 집안일을 많이 하지

않으셨지만 만두를 만들때면 같이 만드셨고 민화투를 치면 과자도 사주시고 엄마가 딴방가서 자라고 해도

아빠 옆에서 재워도 주시고 자주는 아니지만 먹고 싶다면 치킨도 튀겨다 주시곤 했다.

그런 아빠가 아직 옆에 계서서 너무나 감사하지만 무조건 적으로 아빠를 존경하고 사랑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아빠의 교육철학, 돈문제 대해서는 아빠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하겠고 아빠의 인생을 놓고 봤을때 또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너무나 많았다.

책을 읽으면서 아빠에게 해보고 싶었던 질문들을 포스트잇을 몇게 붙여 보았다.

붙이면서 또 신기했던것은 내가 이렇게 질문한것이 없었다. 아빠에 대해서 궁금한것이 없다 싶어서 내가

불효를 저지리고 있은 것은 아닐가 하는 생각에 죄스러워진다. 그렇지만 책의 에필로그를 보면서

이책의 질문은 저자의 질문들임을 말한다. 독자들이 자신만의 질문 목록을 작성해 볼것을 제안하다는

말을 듣고는 어깨에 무거운 짐을 내려놓는듯 했다.

 

맨 처음 나를 품에 안았을때 어떤 느낌이었나요?

나는 나의 자식을 품에 안았을때 남의 자식이라는 생각이 먼져 들었다. 왠지 하늘에서 뚝 하고 떨어진것

같아서 얼떨떨하다는 생각이 맞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는 하나하나 자세히 들여다 보았던것 같다.

뿌듯함, 신기함, 책임감 같은 것은 좀 나중에 느꼈던것 같다.

아빠도 그랬을까? 하는 생각이든다.

내게 늘 물어보고 싶었던 것이 있었나요?

물어보고 싶지만 참견하다고, 귀찮다고, 짜증난다는 표현을 할까 쉽사지 물어보지 못했던 것이 내 아이들에게

있다. 혹시 아빠도 나에게 물어보고 싶지만 주변만 배회하다 말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괜히 눈물이 나는 듯한 찡함과 아빠가 보고 싶은 질문이다.

아버지가 원하는 만큼 충분히 공부했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빠는 중졸이다. 어찌들으면 졸업하지 못했다는것 같기도 하다. 아빠의 삶이 공부를 더했더라면 좀더 큰 세상에

발을 들여 놓지 않았을까 싶다. 79년도 쯤에 사우디아라비에 일을 하러 가셨다고 한다. 1년을 일하고 돌아오셨고

돈은 별반 벌으신것 같지도 않다. 힘이 들어 오셨다고 하지만 학력에 대한 문제로 돌아오신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아빠에게 물어보고 싶다. 아버지가 원하는만큼 충분히 공부했다고 생각하시나요? 왜 안하셨나요? 지금이라도

공부를 하고 싶은 생각은 없나요? 하고 말이다. 아빠가 어려서는 집안형편에 문제가 있어서 못 다녔다면 지금이라도

적극적으로 아빠의 공부에 가담한 각오가 되어 있다.

아버지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은 누구인가? 그 이유는요?

아빠는 특별한 종교가 없었다 그런데도 우리가 교회를 가는 것을 싫어하셨다. 어느날 너의 아버지가 어디 있느냐는

질문에 하늘에 있다는 말에 다시는 가지 못하게 하셨다. 물론 간식을 먹으려 몰래몰래 다녔지만 말이다. 성경책도

읽어보셨다고 하고 불경도 읽어 보셨다고 하는데 아빠는 그저 그런듯 누구를 존경하다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다.

그런 기미조차 보이지 않았다. 요번 집에 가는 길에 아빠에게 꼭 물어것이 생겼구나 싶다.

아버지는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하시나요?

올해 나이 68세 나이가 많다고 할수도 없고 적다고 할수도 없는 나이이다. 무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을때 아빠는

화장을 원하셨다. 나는 별다는 거부반응 없이 생각했지만 주변이 있던 형제자매는 무척이나 싫어했던 주제였다.

건강하시기에 이야기를 나누는 주제가 아니었을가 싶다. 진짜로 몸이 아프셨다면 물어보지 못하고 꺼내지도 못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리고 엄마이야기를 꺼내니 엄마는 불이 무섭다시며 무덤을 원하신다고 말씀 하셨다.

이런 생각을 하고 계신다면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우리가 죽음을 말하는 것은 너무 먼 이야기

인것 같지만 종종 이야기한다. 죽음에 이르렀을대 억지로 살고 싶은 생각은 없다. 또한 내몸의 장기기증을 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좋은 반응은 아니었지만 죽음은 순서대로 가는 것이 아니기에 나의 의견을 알고 있었으면

하는 생각에 무시하고 이야기를 했던 기억이 난다. 나의 형제 자매도 조금만 다른 생각으로 아빠의 의견을 받아들였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