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이 된 무모한 도전들 - 만화로 보는 과학이란 무엇인가 ㅣ 원더박스 인문 과학 만화 시리즈
마르흐레이트 데 헤이르 글.그림, 김성훈 옮김, 조진호 감수 / 원더박스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과학이 된 무모한 도전들
원더박스
마르흐레이트 데 헤이르 글, 그림
김성훈 옮김
조진호 감수
과학 어디까지 읽어 봤니? 하는 질문하고 싶다. 과학 어렵다가 앞선다. 학교 다닐때도 이렇게 열심히
책을 보지 않았던것 같다. 재미있지도 않고 무조건 외워야 시험을 봐야 하는 입장에서 흥미를 갖는다는
건 벼락맞을 확률보다 높은것 같다.작가부부도 같은 같은 입장인것 같다. 관심도 없다 어떠한 책을
읽으면서 확장해 나간 케이스인것이다. 전에 찰스다윈의 종의기원을 만화책을 읽었던적이 있다. 종교를
떠나서 과학적으로 너무나 신기하고 재미있게 읽었다. 자연스럽게 줄글책으로 읽게 되었다. 완벽하게
이해를 했다고는 할수는 없지만 읽었다는 나자신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을 정도로 기특했었다.
이책을 읽고나서 과학에 관련된 책을 읽어보고 싶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순서인것이다.
관심이 있으면 어떻게든 찾게 되어 있고 도전을 하게 만든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열정을 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어떠한 지식을 알려고 하는 것은 안심하게 위해서 라고 한다.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했던가 불안한 미래
불안정한 현재를 사는니 지식을 모아 좀더 편리하고 편안하게 살려고 하는 것이라고 표현한다.
학교 다닐때 과학자가 꿈이라고 했던 아이들이 반에 항상 대여섯명씩 있었다. 그런데 어떠한 과학자가
되려고 하는것이가 생각해 본적은 없다. 그저 과학자라고 직업만을 이야기를 한것이다. 여기서는 과학자를
세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수집가형(사실과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는), 이론가(논리적으로 추론해서 사실들을
서로 연결하고 이론을 공식화하는), 실험가(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하고 과학적 통찰을 적용해서 기술을
발전하는)형이 있다. 뛰어나 과학자는 세가지를 조화를 이루는 사람이라고 볼수 있다.
유클리드는 과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원론'이라는 책에서 기하학의 기본 명제 다섯가지를 설명했다. 이것을
'공리'라고 하고 공리란 증명할수 없지만 자명한 진리로 인정되는 명제를 말한다.
1. 두점을 지나는 직선은 하나다.
2. 선분은 무한히 늘릴 수 있다.
3. 선분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릴수 있다.
4. 모든 직각은 같다.
5. 한 점을 지나며 다른 한 직선에 평행한 직선은 유일하다.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그의 아내'라는 그림을 보면은 남편은 아내를 바라보고 아내는 정면을 바라본다. 이런 구도는
남편은 아내의 지식을 믿고 아내는 자신의 지식을 확신하는 이야기이다. 수많은 여성과학자들이 있지만 시대적으로
차별받고 저평가 되었다. 내가 그시대에 태어나지 않을걸 감사하게 여긴다. 그런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해 연구하고
실험하는 그녀들에게 박수와 경의를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