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들아, 아빠를 닮지 마라
윤여수 지음 / 열린세상 / 2013년 5월
평점 :
아들아, 아빠를 닮지마라
열린세상
윤여수 지음
필자는 무채를 잘 안먹다고한다. 새콤매콤하게 무쳐놓으면 얼마나 맛있는데 또 된장에 비벼먹으면
끝내주는 맛인데 왜 안먹을까였다. 그런데 그것은 누이의 뒷바라지 때문이다. 대학도 못가고 또 지금의
자신보다 부모님을 더 많이 보살피고있는 싱글의 누이 때문이다. 수많은 아들들의 대부분은 누이들의
뒷바라지로 자랐을 것이다. 특히 먹고 살고 힘든가족을 더욱더 그랬을 것이다. 하느님은 다 갈수 없어서
엄마를 보내주었다고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은 엄마대신 누이를 보내주었을 수도 있다. 그렇기에 필자도
무채를 먹지 못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누구나 한가지쯤은 루저일것이다.(난 여러가지가 있다.) 그렇지만 그것을 누군가 제대로 찔렀다면 뜨끔하는
것이 인지상정일것이다. 아버지이기에 루저이고 싶지 않은 것이다. 자식에게 그게 딸이든 아들이든 말이다.
절대로 보여주고 싶지 않을 것이다. 격렬한 경쟁의 와중에 진 패배자인것처럼 보일수도 있지만 사실 수많은
사람들이 모든 사람들이 루저의 삶을 살고 있고 루저의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고 말하는것이다.
흑인 로자파크스 처럼 살기 바라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무관심이라는 최악의 태도"는 갖지 말라고 한다.
본인 스스로 개척자처럼 살아가지 못할것이니 미안하다고 하지만 이렇게 좋은 책을 써주고 아들에게
말해주는 것이다. 주위를 열심히 살피면 "우리의 분노를 정당화하는 주체들"이 보인것이다. 그리고 아빠처럼
살지마라. 아빠를 닮지 말라고 말한다.
JK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쁜것만 아니라면 뭐든지 부딪쳐보게 하고 싶다" 라는 말이 와 닿는다. 그래서
"쉽게 포기하지 않는 아들이 되길 바란다" 했던 기억이 난다. 항상 많은 것을 경험하게 하고 싶지만 실제로
부모가 해주기에는 한계가 있다. 위험하다. 재미없다. 쓸데없다 라는 말로 벽을 만들고 성을 쌓고 있는지도
모른다. 믿어주고 지켜봐주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경험이 사람을 만든다는 말은 맞는것 같다.
남편이 책의 제목을 보더니 한마디 한다. "당연히 닮지 말아지" 한다. 진짜로 그렇게 생각하냐고 물어보았더니
아들 뿐만이 아니라 딸도 마찬가지라나 당신 잘 살고 있고 아이들에게 좋은 아빠야 라고 말해주었지만
남편에게는 영혼없는 메아리처럼 들리나보다. 대꾸조차 안해주는걸 보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