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파괴자 - 의도하지 않았지만, 자기도 모르게 서서히 관계를 망가뜨리는 사람들
랜디 건서 지음, 장호연 옮김 / 한문화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관계파괴자

한문화

랜디 건서 지음

장호연 옮김

관계파괴자라는 말은 왠지 나쁜말 같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것은 선의를 갖고 있지만 자기도 모르게 미묘한

행동을 저질러 상대방과의 관계를 파괴시키는 사람을 말한다.

즉 일부러가 아닌 무의식적인 행동으로 상대방의 관계를 망가뜨리는 사람을 말한다.

책을 읽는 내내 어려서의 기억이나 어려서의 행동들 어려서의 부모의 모습이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했다.

즉 내면아이라는 것을 잘 추슬러서 나쁜 기억을 없애주고 바로잡아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린시절의 부정적인 패턴이 숨어있다가 어른이 되어 관계에서 모습을 들어낸다는 것이다.

어디서 잘못되었는지 찾아내기가 어려울수도 있다. 하지만 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반드시 찾아내어야 한다.

잘 지내던 관계가 항상 뚝같은 패턴으로 끝나거나 계속해서 틀어지고 있다면 상대방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의 문제점을 찾아보아야 할것이다. 상대방은 달라지는데 비슷한 문제로 트러블이 생긴다면 바로 자신을 살펴보라는 것이다.

망가진 관계를 회복하는 방안이 있다. 점쟁이가 관상을 보고 말해주는 것이 아니다.

10만 시간이상을 관계의 위기에 처한 개인과 커플을 상담한 랜디 건서가 말해주고 있다.

1단계 행동을 판단하지 말고 관찰하라.

2단계 행동의 뿌리를 찾아라

3단계 파괴적인 행동을 일으키는 계기를 확인하라

4난꼐 언제 가장 흔들리는지 살펴보라

5단계 새로운 목표를 찾고 다른 행동을 하라

6단계 옆에서 지켜볼 증인을 찾고, 그의 격려를 구하라

7단계 계속해서 목표에 집중하라

관계를 파괴하는 열가지 행동은 불안감, 통제욕구,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지고는 못사는 성격, 비관적태도, 자기중심적 태도

중도, 순교자정신, 방어적태도, 배신이 있다.

친밀감에대한 두려움은 당신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너무 가까운 건 싫다는 것이다. 내가 이런 사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요건은

* 처음에는 친밀감을 원하다가도 파트너가 너무 가까이 다가오면 물러서는가?

* 파트너로부터 감정적으로 멀어질수록 그를 더 그리워하는가?

* 파트너의 사랑을 자주 시험하는가?

* 관계가 끝나면 더 이상 상처를 입지 않아서 다행이다 싶다가도 또 다시 사랑을 떠나보냈다는 생각에 슬퍼지는가?

자기중신적인 태도는 내게 관심을 보여달라는 것이다. 왜 자기중심적으로 되려는 이유가는 무엇일까? 추측해보았다.

@ 사람들이 자신에게 주목하지 않으면 지루한가? (판단)

@ 당신이 대화를 독차지하는 상황이 자주 있는가? (판단)

@ 어렸을 때 가족들을 즐겁게 하면 칭찬이라는 보상을 받았다.(이유)

@ 중심을 차지하지 못하면 주목받지 못할까봐 두렵다.(이유)

@ 다른사람이 어떻게 느끼는지 알아채지 못하며, 자신이 주도해야 마음이 놓인다.(이유)

책을 읽으면서 생각하는 것은 나를 벗겨놓은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나는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자기중심적태도, 순교자정신, 방어적태도에 복합적이 모습이 있었다.

순간순간 나의 이야기인것 같아서 깜짝 놀라웠다.

중간에 점쟁이라는 말을 썼는데 정말 점쟁이가 와서 나의 속을 긁어주는 듯한 시원함과 동시에

내가 왜 그랬는지 상대방과 아니면 그룹에 대한 내의 상황이 이해가 갔다.

고치기가 쉽지 않을수도 있지만 지금의 나의 상태를 인지할수 있는 상황이다.

좀더 천천히 진행을 해나가면서 해보고싶다는 욕구가 넘치고 있다. 즐거운 책은 아니었지만 속은 시원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