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거, 하늘을 날다 초록잎 시리즈 5
장성자 지음, 최현묵 그림 / 해와나무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거, 하늘을 날다 

 해와나무

장성자 글

최현묵 그림

 

날비 수레거

비거 처음 들어 봤다. 그리고 자세히 살펴보기전에는 내용을 전혀 상상할수가 없었다.

독수리에 대한 이야기인가? 아니 임진왜란과 관련된 이야기라고 했는데도 전혀 모르겠다.

책의 뒷장을 보고서야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비거? 이게 도대체 뭐지

    

쇠돌무치는 강진사댁 종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피난가는길에 노비문서와 족보를 놓고간 강진사.

노비문서와 족보를 발견한 쇠돌무치는 어머니에게 보여주면서부터 일이 일어난다.

노비문서는 태워버리고 족보를 가지고 가서 멀리멀리 도망가라고 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강진사댁 아들로 살으라는 말이었다.

내용의 핵심은 다른 곳에 있었다 펑구아제를 만나면서 부터이다. 하늘을 날고 싶어하는 펑구아제의

하늘을 날고 싶어하는 꿈으로 비거를 만들었다.무치가 비거를 타기로 결심을 하죠 처음에는 족보를 가지고 도망가라려고 말이다.

하지만 왜군에게 잡히면서 형을 만나기도 하고 어찌하여 진주성으로 피신도 가게 된다.

진주성에서 비거를 타고 봉수대를 향해서 날게 된다.

    

왜 이름을 안쓰고 손그림을 그렸냐고 물어보더군요.

이름을 쓸줄도 글을 읽을주도 모른는 까막눈이라서 그런다고 했다.

지금은 문맹자가 거의 아닌 없다고 해서 과언이 아니지만 임진왜란때는 양반외에는 하다못해 양반의

여자들조차도 글을 배우지 않았다고 한다. 말을 했더니 세종때 한글을 창제했는데 왜 글을 모르냐고 한다.

너무나 쉽게 배우는데 글인데 말이다. 그때는 한글이 대중화 되지 않았고 한자를 배우기 때문에

평민들이 배우는것은 쉽지 않았다고 말해 주었다.

그러면 왜 자식을 종으로 보낸거야 한다.

먹고 살기 힘들어서 종으로 살면 배을 곯지 않을거라는 생각으로 보낸것이다.

물론 고된 노동과 매질이 있기는 하지만 그때는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일때이기 때문에 종은 다들 그렇게 살았다.

임진왜란은 왜 일어났어?

소총이 그때 진짜로 있었어? 하면서 질문을 쏟아 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