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를 이해하는 부모 영재로 착각하는 부모
권혜숙 지음 / 루비박스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재를 이해하는 부모, 영재로 착각하는 부모 

 루비박스

권혜숙 지음

 

간만에 책다운 책을 만난 듯한 느낌이듭니다.

특히 영화를 보면서 특정한 영화를 교육의 기준으로 살펴본다는 아이디어 자체도 참 좋았다 싶다.

내가 기억에 남는 부분을 살펴보자면 어거스트 러쉬와, 내이름은 칸이다.

영화를 재미있게 보아서 일까 영화를 보지 못하고 읽었던 부분보다는

이해도 빠르고 확실히 가슴에 와 닿는 부분이 많았다.

지금까지도 내 아이에게 미안하다고 느끼는 것은 한번도 천재다. 영재다. 똑똑하다 라고 생각해 보고 키우질 못했다.

내 아이니깐 좀더 넓은 마음으로 바라보면서 타고난 천재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보는 것은 부모만의 특권이 아닌가

그런데 너무나 냉정하고 남의 자식보듯이 부정적으로 이정도하면 남들도 다 하지라는 생각으로 키우다 보니

칭찬에 인색한 아이로 키우게 되었다. (엄마는 칭찬을 안 해준다고 종종 말하곤 했거든요)

어거스트 러쉬에 나오는 주인공은 누구에게 제대로 교육받지 않았는데 천재성을 보인다.

영화감독의 선택은 유전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내가 천재는 아니니 아이에게 많은 기대를 하지 말아야 할까 라는 생각을 하는 동시에

책은 유전 대 환경으로 100년전쟁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온다.

또 1만시간의 노력과 10년동안의 훈련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무엇을 하든 이만시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은 맞는 것 같다.

하지만 타고난 재능을 무시하기에는 피겨스케이팅선수 김연아의 말이 마음에 걸린다.

 

평소에도 자페아에 대해서 궁금한것이 많았다.

특히 천재적인 감각의 사반트 신드롬이라는 것은 일종의 부러움을 느끼기도 했다.

영재라는 것에 가려져서 많은 것을 볼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는 것이 많이 나온다.

아스퍼거증후군, ADHD, ADD, 과흥분성등

너무나 많은 뉴스나 책에 나와 있어서 익히 앍고 있는 것도 있지만 첨들어보는 단어들도 보인다.

모든걸 기억하고 있다 하니 천재인것 같다. 하지만 이들은 사회성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장애를 가졌지만 제대로된 영재 전문선생님을 구한다면

장애 아이들도 훌륭히 자기역활을 할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