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아이 ㅣ 독깨비 (책콩 어린이) 22
R. J. 팔라시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름다운 아이
책과콩나무
R.J. 팔라시오 지음
천미나 옮김
책을 보는 내내 가슴이 아팠다. 그리고 손을 놓을 수가 없었다. 아이가 읽어도 될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너무나 상처많고 가슴이 아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러치만 아이에게 이책을 읽히게 한것에 대해서 후회는 없다.
아이가 극복하고 또 주변아이들도 어거스트처럼 극복했을 테니 말이다.
누가 장애고 누가 병이고 누가 옷을 못입고 누가 남자고 누가 여자라는 아무것도 걸리는 것이 없다.
그저 나는 나 너는 나 틀리다가 아니라 다르다는 것이 참 잘 표현된 책같다.

책의 그림을 보고 어거스트의 얼굴을 상상할수도 없다. 또 상상하든 그 이상이라는 글을 읽고서
더더욱 상상할수 없었다. 책의내용중에 어거스트의 얼굴을 보고서 악몽을 꾸었다는 글을 읽고서는
어거스트의 얼굴을 상상하는 것은 그만두어야 했다.


엄마는 아직도 주인공의 얼굴에 집착을 하고 있는데 아이는 그런것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듯 하다.
그저 읽기전에는 책이 너무 두꺼워 재미없을 것 같아. 그림이 특이해 하면서 책을 안 읽으려고 뺀들뺀들 빼더니
일단 읽기 시작을 하니 아이는 꾸준이 읽는다. 시간이 날때마다 말이다.
그래서 자기 할일을 다하지 못해서 엄마에게 혼도 났다.
또 주인공의 시점에서만 모든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누나의 시점 친구들의 시점에서
어거스트를 바라보는 점에서 아주 재미있었다. 무조건 태양처럼 바라보는 주인공이 아니라.
주변의 모슨 사람들이 극복해 나가는 내용도 책의 새로운 모습이 었다.
아이는 약간 정신이 없는듯 해 보였지만 곧 페이스를 찾은듯하다.
열심히 읽는다. 식탁에서 학교까지 들고가서 보니 선생님이 어떤 책이냐고 물어보았단다.
뭐라고 했냐고 물어보었더니 어거스트 이야기라고 했다나요 그렇게 이야기하면 아냐 선생님이라고 핀잔을 주었단다.
다시 선생님이 무슨 내용이야고 물어보니 얼굴에 상처가 있는 아이가
학교를 다니면서 겪는 이야기라고 말해주었다고 합니다.
선생님도 한번 읽어보고 싶다고 말했다고 하네요.
아이가 선생님 선물도 사주어도 되냐고 묻네요. 물론이지 아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