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현 따라쓰기 - 아직 태어나지 않은 말 처음책방 필사책 6
고두현 지음 / 처음책방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두현 따라쓰기
아직 태어나지 않은 말
처음책방 필사책 6
고두현 지음
처음책방

시는 참 어려운거 같다. 물론 다른 책도 어렵다. 그런데 시는 참 어려운거 같다. 어떤 글에서 봤는데 국문과 나와서 할 수 있는 직업이 있는데 제일 어려운것이 시인, 그다음은 소설가, 그다음은 평론가라고 했던 내용이다. 많은 글을 펼쳐 놓는 것은 쉽다고 했다. 그 글을 응축하고 또 응축해서 몇개의 단어로 만들어 줄이는 것이 어렵다고 말이다.
얼마전에 '시 탐정 사무소' (이락) 책을 읽었다. 시로써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이었는데 다시 한번 시가 어렵다고 생각했다. 작가는 시를 좀더 친근하게 접근하라고 쓴 책 같은데 읽으면서는 금방 와~, 와~ 하고 재미있게 읽으며 넘어갔다. 그럼 시를 한번 읽어볼까 했는데 왠지 시 탐정처럼 내용을 파헤쳐야 될거 같아서 시집을 잡았던 손을 놓아버렸다.
시가 어렵다면 필사라고 해고 싶은 마음에 책을 골랐다. 읽고 지나가는 것보다 쓰면서 곱씹어 볼 참이었다. 남의 시지만 나의 시를 쓰듯이 따라 쓰면서 마음 수양도 해본다. 필사라는 것이 나에게 이런 진지함을 남겨줄지 몰랐다.
요즘 필사가 유행처럼 번지는거 같다. 좋은 유행이 아닌가 싶다. 읽으면서 한번, 쓰면서 두번, 길지 않으니 다시 한번 읽어보니 더 와 닿는다. 쓰면서 내 취향 파악이 되는 듯 하는 느낌이랄까 좋은 시는 몇 번을 읽어도 좋으니깐 말이다.
여기까지 쓰면서도 아직 태어나지 않는 말이 있을까 생각해 본다. 물론, 당연하게 그런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줄인말을 많이 쓰면서 새로운 단어들이 만들어 진다. 무슨 뜻인지, 무엇을 말하는지, 무엇을 지칭하는지 도대체 알 수 없는 정체불명의 단어들이 난무하고 있다. 아이유 노래 중에 '꽃갈피' 라는 단어가 새로운 단어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참 예쁜 단어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좋은 사람일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김밥천국 - 고두현

천원짜리 한장이면

미얀마 소아마비 아이 다섯 구하고
캄보디아 지뢰밭 삼분의 일 제곱미터 걷어내고
아프카니스탄 어린이 다섯명에게 교과서와
방글라데시 아이들 스무명에게
피 같은 우유 한 컵씩 줄 수 있고
몽골 사막에 열 그루의 포플러를 심을 수 있다는데

종로1가 커피빈 회사한 불빛 그늘
반든반들 참기름 두른
천원짜리 김밥집에서
연거푸 두 번이나
천국의 문을 넘는
나의 목구멍이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