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최초의 전문 산악인 창해 정란 - 조선의 산야를 누비다
이재원 지음 / 책이라는신화 / 2022년 10월
평점 :
창해 정란
조선 최초의 전문 산악인
이재원 지음
책이라는 신화
소제목이 많다. 조선 최초의 전문 산악인, 천하의 모든 땅을 내 발로 밟으리라. 조초선의 산야를 누비다. 모든 것이 정란을 뜻한다. 이렇게 정확하게 정란을 표현할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책을 보는 내내 떠오른다.
작가는 단원 김홍도의 책을 쓰다가 정란이라는 사람을 알았다고 한다. 나도 처음 들어보는 사람이었다. 정란이라는 사람이 어떠한 사람이고 왜 그렇게 방랑벽이 펼치면 조선팔도를 돌아다녔는지 궁금해 진다.
옛날에도 산악인? 여행가? 등반가? 라는 것이 직업을 나눌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그때는 그저 먹고 살고, 그리고 공부하고 과거급해하여 관리가 되는 것이 모두였던 시대가 아니었나 싶다.
정란은 달랐다. 산수에 대한 그리움으로 관직의 꿈을 버리고 조선 팔도를 다녔다.
지금도 그렇치만 일은 안하고 놀러만 다니는 사람을 좋아지 않는다. 속으로는 부러워 할지 모르지만. 정란은 그것을 이겨내고 그림과 글로 여행기를 남긴 여행가였다.
세상을 살면서 나를 믿어주는 몇몇사람의 힘으로 산다고 한다. 정란의 입자에선 동물도 있을듯 히다. 정란에게는 최북과 김홍가 있다. 최북의 그림중에 [기려행려도]를 보면 그림의 그가 진짜로 정란일것 같다. 노새와 동자와 말 탄 사나이 그림을 보고 책을 읽는 내내 생각했다. 이런모습으로 금강산, 백두산 수많은 산드를 가고
제주도까지 갔을것이다.
종종 생각한다. 여행을 다녀오면 허탈함이 더 크다. 여행후의 변하지 않는 현실이 나를 더 답답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마음의 변화는 깨달지 못했다. 정란은 그것을 알았던것 같다. 생활의 변화는 없지만 마음의 변화를 알았던 것이다.
여행을 많이 다녀보지 못했기 그럴까? 가끔 여행을 가기위해서 돈을 버는 사람을 보면 답답하다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사람은 나를 답답한 사람이라고 느꼈을 것이다.
여행을 가지 못하더라고 가까운 곳에 산책으라고 나서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