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독도
황인경 지음 / 북치는마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도

북치는마을

황인경 장편소설

 

우리나라 어디를 가서 소리를 친다. 
독도는~~~ 그러면 아마 100%로  우리땅~~~ 이라고 메아리처럼 들려올거라고 확신한다. 
대한민국~~~ 하면 짝짝짝 짝짝~~~ 하고 나오는것 처럼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골수에 가슴에 새겨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독도라는 제목에 손이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행위이다. 
당연한 행동이다. 
생각보다 집에 찾아보니 독도에 관련된 책이 서너권이 된다. 
읽었지만 누가 왜 독도가 우리땅이야 하면 궁색하기 그지 없다. 
그렇치만 독도는 우리땅 이라는 노래를 들어봤다면 한결수월하게 대답할수 있을 것이다. 
이것만 불러주어도 충분히 알수 있을것이다. 

울릉도 동남쪽 뱃갈 따라 이백리  .....(중략)
지증왕 십삼년 섬나라 우산국
세종실록지리지 오십쪽 셋째줄
하와이는 미국땅  .....(중략)
독도는 우리땅

독도하면 안용복을 뺄수 없는 중요한 인물이다. 제대로 대접을 받지는 못했지만
독도가 우리나라는 것을 알리는 외교관역활을 한 사람이다. 
몰래 왜를 가기위해서 배를 만드는 안용복 수많은 난관이 펼쳐지지만 우리는 
알고 있다. 그가 왜에 가서 큰 소리를 칠 것을 그래서 불안한 마음은 들지 않는다. 
숙종을 만나는 사연까지 독도를 다시한번 가슴에 새겨진다. 

도와주는 이가 왜나라 사람이었고 설정도 어쩌면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자

라는 것을 일깨워주는 것은 아닐까 싶다. 

"교지. 갑오생 안용복을 통정대부 도왜장군에 임한다. 강희35년,5월." p270
"전하께옵서 이토록 그대들을 응원하고 계시요." p271
"다만 부스러믈 만들 수 있으니 증좌는 없내는 것이 좋겠소."
"우리의 땅이라면 우리의 지도에 표기되어야 마땅한 것인데. 어떤 곳에는 그려져 있고,
어떤 곳에는 빠져있다면 논란거리가 되기 쉽상이지." p349

 

아~ 빨리 코로나까 끝나서 울릉도, 독도 가고 싶다. 

비행장이 생긴다는 소식이 있었던것으로 기억이 나는데 어서 빨리 건설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더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