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빠가 돌아왔다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이우일 그림 / 창비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때때로 김영하가 미워진다.

그는 가질 것을 다 가졌다. 아내도 있고, 고양이도 있다. 그저 "부모님이 좋아하셔서" 연대 경영학과를 갔다는 학벌도 있다. 게다가 소설가이다. 그것도 성공한 소설가. 책도 잘 팔린다. 상도 곧잘 받는다. 아, 정말 불공평한 세상이다.

그가 돌아왔다. 사실 돌아온 지는 한참 됐다. 이 책은 나온지 꽤 된 소설이다.

(그러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이렇게 리뷰를 쓴다. 너무 오랫동안 먼지가 쌓이게 했던 알라딘 천일야화 서재야, 미안하다- 언니가, 돌아왔단다. 다시 천일하고 하루 간의 이야기를 위해.)

아무튼, 김영하는 돌아왔'었'다. 이 지독하게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담고. <오빠가 돌아왔다>는 출간 당시 나에게, '한국에서 가장 재미나는 신작 소설'이었다. 누군가 삶이 지루하고 퍽퍽하다는 얘길 하면 난 이 책을 들이댔다. 야, 이거 읽어봐. 그렇다. 한국어를 읽을 수 있는 사람 치고 이 책이 재미없다는 사람은 없었다. 그 중에서도 최고는 역시 한 콩가루 집안의 일상다반사를 그린 "오빠가 돌아왔다"였다. 여기선 정말 김영하가 미워진다. 그는 180cm가 넘는 후리후리한 키의 성인 남자면서, 조숙한 중딩 여학생의 문체까지 완벽하게 구사하고 있다. 그 톡톡 쏘아대는 말투 중 몇 부분은 정말 무릎을 쳐대며 웃게 만든다, 사람을.

사실 중간중간, 김영하 오빠도 노력하고 있다. "그림자를 판 사나이" 나 "이사","마지막 손님"은 제법 둔중한 어투로 짐짓 인간의 심리를 파헤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김영하 오빠의 문체는, 그게 아니다. 그런 이야기를 못 쓴다는 게 아니라, "오빠가 돌아왔다" 라인에 속할 "너의 의미", "너를 사랑하고도"를 읽다 보면 정말 이 오빠가 자신있게 내놓을 메인메뉴는 역시 이것이라는 생각을 들게끔 하는 거다. 아, 나름 경영학도로서의 자취가 느껴지는 "보물선"은 그 절충점을 영리하게 찾아낸 결과물로도 볼 수 있겠다.

결론은 이렇다. 나처럼 <검은 꽃>의 김영하가 실망스러웠던 독자들을 위해, 알짜배기 김영하가 돌아왔다. 여전히 그는 위트넘치고, 재치있으며, 정곡을 찌를 줄 안다. 오히려 그는 여성 화자를 내세울 때 더 강력한 포쓰를 발산하며 매우 기발한 사건 전개로 지루함 따위, 물리칠 줄 안다. 그렇다고 단순히 킬링 타임용 소설이라고 생각해선 오산이다. 그는 외계인 박민규보다는 '지구'-그 중에서도 매우 '서울'적이며, 그가 뿌려놓은 배경의 이미지는 "지금","여기" 우리들의 정서와 직통으로 연결된다. 그러니, 꼭 읽어보시라. 그가 정말로, 그리웠다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ony 2007-06-26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영하의 소설을 하나 읽어보려했는데 리뷰가 정말 시원시원하네요.이걸로 결정했습니다.당장 주문하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