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 - 세계의 고전 사상 7-001 (구) 문지 스펙트럼 1
에피쿠로스 지음, 오유석 옮김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9월
평점 :
품절


일생 동안의 축복을 만들기 위해서
지혜가 필요로 하는 것들 중에서 가장 위대한 것은
우정의 소유이다.
- 에피쿠로스, [중요한 가르침] ⅩⅩⅦ

일찍이 아나톨 프랑스는 “모든 사람이 칭찬하고 존중하는 책, 그런 책은 아무도 읽지 않은 책일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오래된 고전의 경우가 더욱 그러한데, 예를 들면 마르크스를 이야기하는 사람치고 [자본]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사람이 얼마나 될지 나는 의문이다. 예수를 믿는 사람들은 성경을 안 읽고, 부처를 믿는 사람들은 불경을 읽지 않는다. 사실 그래도 삶을 사는 데는 별 지장이 없다.

문제는 책을 안 읽어서 오해를 낳게 되는 경우이다. 그러한 책 중에 하나가 바로 에피쿠로스의 『쾌락』이다. 나는 이 책을 오유석이 번역한 ‘문학과 지성사’판으로 읽었는데, 작은 포켓북 형태로 되어 있어서 들고 다니며 읽었다. 그런데 사람들은 내가 이 책을 읽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묘한 표정들을 연출하는 것이 아닌가. 아뿔싸, 책 제목이 ‘쾌락’이었으니.

우스개 소리 : 보드리야르가 쓴 『섹스의 황도』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많이 팔렸다는데, 그 이유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이 제목을 오해해서 ‘섹스의 왕도’로 알았기 때문이라는 믿지 못할 이야기. 하지만 보드라야르의 『섹스의 황도』는 왠만한 지식인이라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에피쿠로스의 『쾌락』은 과연 ‘쾌락’에 관한 책이다. 그러나 에피쿠로스가 추구하는 쾌락은 일상적인 사람들이 추구하는 쾌락의 정반대에 위치해있다. 일상인의 쾌락이 순간적이고 육체적인 것이라면, 에피쿠로스의 쾌락은 지속적이고 정적인 것이다. 욕망을 키우는 쾌락이 아니라 욕망을 조절하는 쾌락. 풍요롭게 소비하는 쾌락이 아니라, 최소한의 것에 만족하는 쾌락. 그런 의미에서 에피쿠로스의 쾌락은 불교의 선(禪)적인 측면과 많이 닿아있다. 그는 욕망을 잘 선택하고 계산하라고 한다. 어떤 욕망은 만족을 주지만, 어떤 욕망은 오히려 고통을 낳기 때문에. 예를 들어 좋은 차를 사고 싶은 욕망은 그에게 결핍의 고통을 주지 않는가. 그래서 에피쿠로스는 ‘아타락시아’, 즉 마음이 동요되지 않고 평안한 상태를 추구한다.

나는 『쾌락』을 읽으면서 에피쿠로스가 ‘감각’을 진리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에 놀라웠다. 근대 합리주의 철학은 끊임없이 감각을 추방하고 그 자리에 이성을 세우려한다. 감각은 불완전하며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에피쿠르소는 그 감각이야말로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최초의 것이자, 최후의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또 하나 놀라운 점은 그는 단순 인과론적 사고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그는 하나의 현상에 둘 이상의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현상을 미신적인 방법이 아니라 자연학적인 방법으로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어찌되었든, 에피쿠로스의 『쾌락』은 나에게 책읽기의 쾌락을 선사한 책이다. 때로는 잠언적으로, 때로는 산문적으로 에피쿠로스는 미신에 저항하고 진정한 쾌락이 무엇인지 성찰하게 만들었다. 내가 줄을 그어 놓은 두 부분을 인용하며 끝내자.

“ 사려깊고 아름답고 정직하게 살지 않고서 즐겁게 살 수는 없다. 반대로 즐겁게 살지 않으면서 사려 깊고 아름답고 정직하게 살 수는 없다. 사려 깊고 아름답고 정직하게 살기 위한 척도를 가지지 않은 사람은 즐겁게 살 수 없다.”[중요한 가르침Ⅴ]

“어떠한 쾌락도 그 자체로 나쁘지는 않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쾌락들을 가져다주는 수단이, 쾌락보다는 고통을 가져다준다.”[중요한 가르침 Ⅷ]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