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주 평전
강대석 지음 / 한얼미디어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그날 이후 나는 시쓰기를 멈췄다. 김남주의 <<나의 칼 나의 피>>를 읽은 이후, 그러니까 그때가 1987년이었다. 가령 이런 시를 읽을 때였다.


낫 놓고 ㄱ자도 모른다고

주인이 종을 깔보자

종이 주인의 목을 베어버리더라

바로 그 낫으로.


<종과 주인> 전문이다.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그랬다. 그러니까 그의 시는 육체였고 칼이었고 피였다. 그후 나는 김남주 시인을 만난 적이 있었다. 그가 출소한 이후에 한국노동당 청년위원회에서 개최한 여름 수련회에서 였다. 나는 시인에게 술 한 잔 올리며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이 감옥에 있을 때에는 투쟁이 선생님의 시 주제였는데, 감옥에서 나오시니 세상이 많이 변했지요. 이제는 무슨 주제로 시를 쓰시렵니까?” 그때 시인은 이렇게 말했다. “사랑에 대해서 쓰고 싶소. 가장 치열하고 아름다운 사랑에 대하여.”  그 소망을 이루었을까? 나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의 생애가 가장 치열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노래였다는 것은 나는 확신한다. 그는 한 순간도 타협하지 않았고, 한 순간도 멈추지 않았다. 그의 생애는 체 게바라 비교될 수 있을 것이다. 체 게바라처럼 그는 누리지 않았고 싸움이 있는 곳으로 달려갔다. 그렇게 살다가 그는 죽었다. 게바라는 적의 총에 맞아, 시인은 암과 싸우다가. 그가 죽은 지 벌써 10년. 나는 그를 잊고 살았다. 나의 몸은 불었고 나의 사상을 물러졌고 나의 행동은 더디어졌다. 솔직히 말하자. 나는 더 이상 싸움에 현장에 있지 않다.

그런데 이 왠 느닷없는 만남이란 말인가. 10년도 지났는데, 김남주가 다시 나에게 다가 왔다. <<김남주 평전>>이란 이름으로. 그는 말한다.(라고 나는 생각한다.)

“동지, 동지는 이미 변했소. 동지는 진보를 말하고 불의와의 싸움을 말하고 정의를 말하고 있소. 좋소. 그러나 그것은 누구나 하는 말이오. 주로 자유민주주의자들이 사용하는 수사학이지. 관념의 수사학 말이오. 동지는 이미 육체를 잃었소. 머리만 둥둥 떠 다니고 있구료. 진보라고? 무엇을 위한, 누구와 함께 하는, 무엇을 버리는 진보란 말이오. 불의와의 싸움? 정의를 위한 투쟁? 도대체 어떠한 불의, 누구를 위한 정의란 말이오. 싸움은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오. 머리로 관념으로 하는 것이 아니오.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근본뿌리를 흔들지 못하는 투쟁, 정치가들 몇몇을 욕하고 바꾸는 싸움, 공명한 선거. 평화로운 시위. 도대체 누구를 위한 공명이고, 무엇을 위한 평화란 말이오. 차라리 나는 이제 자본주의의 개가 되었다고 말하시오. 추상적으로 말하지 마시오. 누구를 죽일 것이고 누구를 살릴 것이며, 누구와 함께 할 것이고, 누구는 절대로 만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시오.”


아하, 이를 어쩔 것인가? 나는 화려하게 포장된 악취 나는 정신을 가진 대신에 피 터지고 땀 흘리는 육체를 잃었구나. 그랬었구나. 그래서였구나. 10년 만에 만난 김남주가 이렇게 낯설은 것이. 두려운 것이. 세상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는데, 내가 변해버려서 였구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우살이 2004-04-08 1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남주 시인의 삶과 시는 10년이 지나도 뭇 사람들에게 그 치열성을 상기시키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