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쓰다 - 차별화된 기획을 위한 편집자들의 책 관찰법
박보영.김효선 지음 / 예미 / 2020년 3월
평점 :
학생이라면 좋은 선생을 만나는 것이 가장 큰 행운이다. 선생이 많을 필요는 없다. 다만 한 두 명이라도 좋은 스승을 만날 수만 있다면 공부할 맛이 난다. 마찬가지로 저자라면 좋은 편집자를 만나는 것이 가장 큰 행운이다. 같은 글이라도 좋은 편집자를 만났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결과물이 천차만별 차이가 난다. 이건 내가 경험해봐서 안다. 좋은 책(?)은 저자와 편집자의 앙상블의 결과이다. 그래서 편집자들의 의견을 매우 존중한다. 편집자들의 의견을 반영하면 좋은 책이 나올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좋은 책이 많이 팔리기도 하지만, 많이 팔리지 않더라도 쉬 사라지지 않는다.
좋은 책을 어떻게 만들까? 우선 책을 보는 좋은 안목이 있어야 한다. 그런 안목을 가진 사람 중 전문가가 바로 편집자이다. 그렇다면 편집자의 안목을 갖추는 것이야말로 좋은 책을 만드는 첩경이 될 터이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 박보영과 김효선이 공저한 《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쓰다》(예미, 2020)이다. 이 두 편집자는 수백 권의 책을 만들고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기획한 출판계 현업 편집자들이다. 일단 전문성에서 신뢰가 간다. 게다가 글이 체계적이고 친절하다. 누구나 실천할 수 있도록 잘 설명되어 있다.
저자들이 강조하는 것은 책을 읽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책을 보는 것이다. 책에 대한 안목(眼目)은 좋은 기획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막연하게 책 한 권이 아니라 출판사에서 꼭 내고 싶은 책을 쓰고 싶다면 자신의 강점 콘텐츠를 알고 참신한 기획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저자들은 차분한 어조로 차근차근 1) 책 관찰법, 2) 책쓰기의 핵심, 3) 책 읽기 기술 등을 소개한다.
저자들은 말한다. “모든 사람이 책 쓸 필요 없지만, ‘책쓰는 기술’은 모두에게 필요하다” 책을 쓰는 데 필요한 기술은 1) 자신의 콘텐츠를 발견하는 기술이고. 2) 자신이 콘텐츠를 제삼자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고 매력적으로 다듬어 표현하는 기술이다. 이는 나를 발견하고 타인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술로까지 확장할 수 있다. 자기 잘난 맛에 사는 사람이 아니라, 타인과 소통하며 살기 위한 기술이 될 수도 있다.
내가 책쓰기를 강조하는 이유는 자신의 생각과 삶을 정리하고, 그 다음 단계로 뻗어갈 수 있는 디딤돌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책쓰기가 쉬운 것은 아니다. 세상에 쉬운 일이 어디 있겠는가? 그렇지만 책쓰기는 정말 좋은 일이다. 어느 침대회사 선전 말마따나, 정말 좋은데 말로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두 편집자들이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놓았다면 읽어보고 싶지 않은가? 예비저자들의 필독서로 추천한다.
반드시 기억해야할 것은 출판편집자들은 책을 만드는 일을 본업으로 하는 사람들이라는 사실이다. 대중의 관심사를 사로잡을 수 있는 책 기획을 끊임없이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출판계가 유사 이래 최고의 불황이고, 책 팔아서 먹고 살기 쉽지 않은 환경 속에서도 책이 너무 좋기에 책을 만드는 일에 인생을 건다. 대중에게 사랑받는 책을 만드는 것에서 자신의 존재 이유를 찾는다. 그래서 예비저자들은 출판편집자들이 계약하고 싶다고 전화하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참신학 기획으로 그들의 눈을 홀릴 수 있어야 한다. 그제야 비로소 진짜 저자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것이다.(18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