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오퍼스 9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코로나19로 어수선한 시절에 나는 수잔 손택의 은유로서의 질병(이후, 2002)을 읽는다. 1978년에 발표된 이 글이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수잔 손택은 타인의 고통, 해석에 반대한다등의 글로 우리에게 알려진 소설가이자 평론가이다. 그녀의 작품은 현실적 세계에 대한 고발이자 도발로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 손택은 결핵으로 죽은 아버지를 쉬쉬하던 어머니를 이해하지 못했다. 결핵은 당시 뭔가 수치스러운 질병이었던 것이다. 이후 손택은 1976년 유방암 4기라는 판정을 받는다. 이때부터 손택은 의학적으로 지성적으로 질병과 투쟁한다. 1978년 수술과 화약요법으로 완치된 후에도 투쟁을 멈추지 않는다. 사람들이 질병을 대하는 태도와 질병을 신비화하는 언어를 쫓아내고자 노력한다. 은유로서의 질병은 그렇게 탄생했다. 한국에서 출간된 책에는 은유로서의 질병뿐 아니라 에이즈로 죽은 친구를 생각하며 쓴 글 에이즈와 그 은유(1988)도 같이 수록되어 있다.

사람들은 에이즈를 도덕적 타락에 의한 천벌로 여기고, 종말론을 주장하고 있었다. ‘편집증적 정치의 군사적 은유가 넘쳐났다. 인류의 적이라든지, 박멸이라든지, 격퇴라든지 온갖 무시무시한 용어로 에이즈를 정죄했다. 이에 맞서 손택은 질병은 질병이며, 치료해야할 그 무엇일 뿐이라고 말한다. 에이즈 역시 마찬가지였다. 손택은 은유 대신에 투명성(transparency)’을 요구한다. 투명성개념은 온갖 신비화와 은유에 맞서는 손택의 무기이다. 그것은 인간적 감수성을 회복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있는 그대로의 사물을 경험하는 것이 바로 투명성이고, 그로 인해 우리의 삶을 더욱 실감나게 느낄 수 있다.

이후 그녀는 1998년 자궁암이 걸려 자궁절제 수술을 받았지만, 결코 질병에 굴종하지 않는다. 그녀는 생명을 더욱 소중하게 여겼다. “일단 사형 선고를 받고 나면, 당신은 태양도 죽음도 똑바로 쳐다보지 않으려 할 겁니다. 당신의 마음은 슬픔으로 가득 차지요. 그러나 당신의 마음 속에는 끊임없이 강해지고 깊어지는 뭔가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생명으로 부른답니다.”

 

나는 이 시절에 용기를 내기 위해서 이 책을 읽는다. 질병은 우리를 두려움에 떨게 만들지만, 질병을 둘러싼 온갖 은유와 공포가 더욱 우리를 두렵게 만든다. 이 책은 그 질병의 은유를 파헤치고 우리의 마음 속에 자리잡은 또 다른 질병을 치유하게 만드는 책이다.


‘역병‘은 사람들을 두려움에 떨게 만드는 질병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이었을 뿐만 아니라 집단적 재앙, 악, 천벌을 나타내는 최고의 본보기로 오랫동안 은유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역병이라는 은유는 질병이란 기꺼이 그 고통을 받아내야만 하는 그 무엇이라고 생각하도록 만들었다.(3쪽)

질병은 삶을 따라다니는 그늘, 삶이 건네준 성가신 선물이다. 사람들은 모두 건강의 왕국과 질병의 왕국, 이 두 왕국의 시민권을 갖고 태어나는 법, 아무리 좋은 쪽의 여권만을 사용하고 싶을지라도, 결국 우리는 한 명 한 명 차례대로, 우리가 다른 영역의 시민이기도 하다는 점을 곧 깨달을 수밖에 없다.(1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