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210 복식부기

자산=부채+자본 

 

-1. 회계원리로 검색해본다. 회계의 역사라고 하니 나오는 것이 없다. 부기의 역사하는 해피캠퍼스 유료자료만 나온다.

 

-2.

 

회계란 "기업실체의 경제적 활동과 관련된 거래나 사건을 화폐액으로 측정*기록*분류*요약*정리하고 그것을 해석하는 기술이다."라는 회계정보의 생산자 측면과 "기업실체의 경제적 활동에 관심을 갖는 여러 이해관계자가 합리적 판단과 경제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회사의 경제적 활동의 흐름과 결과를 추적, 기록하여 유용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다."라는 정보 이용자 측면을 동시에 의미한다고 한다.

 

복식 부기의 역사는 15세기 이탈리아 루카 파치올리 Lucas Pacioli 로 거슬러 올라간다. 500년이 지났으며 우리나라에서 고려시대 [사개송도치부법]이란 자료로 200년이나 앞서 있다고 하나 그 내용은 살펴보아야 하겠다.

 

-3. 궁금증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사회단체의 활동들이 기금의 운영에만 맞춰진 것은 아닐까? 회계가 여기에 머무는 것이 제대로 된 것일까 하는 의문때문이다. 칼 폴라니가 토지와 사람, 자본을 발라낸 결과 자본주의가 성립되었다고 주장한 것 같이, 기업의 역사와 자본의 역사는 자본을 독립된 실체로 다루고 이렇게 운영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회계는 대차 평균의 원리, 계정과목 설정의 원칙, 회계의 기본원리에 맞춰 과학화되었다고 하자.

 

-4.

 

거래가 발생하면 자산, 부재, 자본에 변동이 일어난다. 이 경우 각 요소의 변동내용을 명확히 기록, 계산하기 위해서는 가 항목별로 구체적인 장소가 필요한데 이렇게 특정하게 기록, 계산하는 장소적 단위를 계정이라고 하며, 계정의 명칭을 계정과목, 계정기입의 장소를 계정계좌라고 한다. 또한 계정계좌는 좌우 2개의 계산장소가 있는데 계정의 왼쪽을 차변 Debit. Dr 오른쪽을 대변 Credit Cr이라고 한다.

 

-5. 계정과목을 들여다본다. 계정과목 설정의 원칙들이 나열되어 있다.  단일성의 원칙, 명료성의 원칙, 계속성의 원칙, 중요성의 원칙이라고 적혀있다.

 

-6. 거래라? 부기상의 거래인 것과 부기상 거래가 아닌 것이 나열되어 있다. 헤아리지 말아보자. 그냥 가만히 둔다. 거래의 8요소도 함께 본다.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과 손익의 발생이라고 말한다. 일정한 원리와 원칙들로 거래도 부기도 이루어져왔다.

 

-7.

 

삶자산 = 삶부채 +삶자본

 

-8. 돈을 벌고 이윤을 남긴다는 것은 인류역사에서 치욕스러운 것이었다. 하물며 고리대금업은 더 그러했다고 한다.  기업에 사람의 권한을 부여한 것도 그러하다.

 

-9. 1:1만남에서, 1:모임의 만남에서, 사회단체의 성원의 관계에서 우리가 얻는 것은 무엇일까? 무엇이 될지 모르겠지만 이런 것들을 복식 부기로 기록되고, 정리될 수는 없는 것일까?  아무 것도 몰라 답답하다.

 

-10. 일단 부기상의 거래로 인정하자. 책 한권을 만나 전과 후의 시차가 거래할 수 있는 결과물이라고 한다면, 모임의 성원을 만나 공부하고 토론하고, 논의하면서 달라진 생각들, 음 그것을 일단 질문이라고 한다면, 그 질문도 거래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하자. 다른 단체나 모임에서 빌려온 질문의 맥락과 운영의 잡히는 맥락을 부채라고 하자.  모임에 축적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시차의 목록과 새로생겨난 질문들을 자산이라고 하자.

 

-11. 칼 폴라니가 말하는 사람과 토지를 다시 붙여낼 수 있을까? 삶의 수지를 맞출 수 있을까? 자본에 기대어 사는 삶의 미로가 꿈적거릴 수 있는 것일까?  늦봄 괜한 생각으로 자료를 들낙거린다. 뜬금없는 의견도 고프다. 거래의 기본원칙에 어긋나므로 애초에 가정이 잘못된 것이라고....아님은 재미삼아 학문은 정합성만 목표로 하는 것이니 주섬주섬 챙겨보자고... ...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뜬금없기(2) - 거래의 8요소
    from 木筆 2014-04-16 08:13 
    일단 부기상의 거래로 인정하자. 책 한권을 만나 전과 후의 시차가 거래할 수 있는 결과물이라고 한다면, 모임의 성원을 만나 공부하고 토론하고, 논의하면서 달라진 생각들, 음 그것을 일단 질문이라고 한다면, 그 질문도 거래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하자. 다른 단체나 모임에서 빌려온 질문의 맥락과 운영의 잡히는 맥락을 부채라고 하자. 모임에 축적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시차의 목록과 새로 생겨난 질문들을 자산이라고 하자. 글과 자료를 오가다가 진도를 하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