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지 주제만을 반복해서 그린다. 


김창렬의 물방울시리즈. 아톰과 주먹의 김인작가. 트라우마에 가까운 사연을 가지고 있다. 그런면에서 예술은 치유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최근의 그림들은 소재의 독특성과 자신만의 주제 의식이 과도한 건 아닐까? 그래도 같은 주제를 반복하는 건 일이자 노동의 연속은 아닐까? 사역은 아닐까? 재미라는 요소는 어디에 자리잡고 있을까? 설렘은 있기나 한 것일까? 


그동안 전시를 보러 다니면서 든 의문이자 문제의식이 이것이다.


비단에 금분 채색이라? 4-5년전 손바닥크기의 작품전이 있어 다녀왔다. 섬세함과 독특한 질감의 작품은 매료되기에 충분했다. 


작가를 만나기 앞서 이런 마음은 풀리지 않는다. 비는 오고 예정된 시간보다 차는 막혀 미안함이 물밀듯이 몰려온다. 대절 버스에 내리자 마자 택시를 타고 두시간이 훨씬 지나 가까스로 작업실에 도착. 호흡을 가다듬기엔 짐들이 많다. 


넓은 작업실. 한 쪽 벽면으로 길게 늘어선 대형 캔버스 위론 작업이 한창이다. 그리고 그 앞 바닥엔 일년생 풀들을 끈으로 묶어 부케를 연상하게 만든다. 


그렇게 시작한 이야기 가운데, 생경함이 밀려온다.

그동안 작업들이 설렘이자 기쁨이었다니. 들으면서도 설마. 그럴까 하는 생각이 스몄다. 


넓은 작업실, 작품들을 빼곡히 배열해 둔 공간. 편안한 소파. 차 한잔의 여유공간까지.


.


한달 전쯤, 경주 우양미술관에 들렀다. 40대초반의 장줄리앙 전시를 보면서 든 해방감. 그 다양성. 발랄함. 설렘.


그 사이. 그 사이 어디쯤.


. . .


주선인 안** 후배와 작가의 만남 뒤로 작업실을 알아보고 꾸몄던 긴 시간이 지나 건네 준 책과 추천도록을 살펴본다.


. . . .


그래 선입견이었다.  큰 주제와 커다란 반경 속에 다채로움은 놀랄만큼 많이 확장된다. 영상, 나무조각. 풀벌레. 마른풀과 중첩. 살펴보니 충분히 설레고 남을 법하다. 언니의 죽음까지 사연과 곡절만큼 공부도 함께 한 듯싶다.


볕뉘.


그렇게 고민을 넣을 큰 마음의 서랍을 찾아야겠다. 그런 방법을 찾아서 넣어 두고 있다. 반기 정도 숙려기간을 두어 맥락을 잡아보려 하고 있다.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