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결여한 논리 DNA


방사선조사식품
 - 당신이 좋아하는 라면스프엔?

과학의 기역도 모르는 이들이 모였다. 특정 기술이 끼치는 영향에 대해 사전지식없이 이틀동안 보고 또 보고, 듣고 또 듣고한다. 질문를 던지고 받는다. 찬성과 반대의 앎이 쌓이는 동안 어느새 많은 이들은 문외한에서 문안에 서성거리고 있다. 그 무렵 전문가는 왜그리 어려운 용어를 들이대고 주부들은 아무것도 모른다는 식으로 하대하는 것인지? 기자는 방사선조사가 아니라 상온처리, 우주식품 등 말을 만들고 바꾸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는지?  연구원들은 혹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닌지 노심초사 로비를 하고 싶은 마음들이 읽힌다.

쫄지말자 전문가!!
쫄지마라 연구원!!

기술에 대한 좋은 면만 보려는 이들의 관심. 안전을 걱정하고 근심을 갖는 이들. 앎의 출발은 다르지만 그 앎에 닿는 정보라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니 전문가들에게 주눅들지 말자.그들이 자기 입장을 대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이 안달하는지 읽어야 한다. 착한 소비의 관점에서야 보이는 것도 볼 것도 많다. 속좁은 전문가와 자신의 밥벌이만 고민하는 연구원들의 알량한 속내보다 아줌마의 힘은 통도 크고 품도 크다. 그러니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배울 것은 이 아량이 큰 도량이다. 그래야 얇디얇은 박사와 전문가의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주부의 관점에서 사고를 세탁해야 사회가 원하는 전문가와 연구자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위험한 분야, 보이지 않으려는 분야만 연구해도 충분히 당신의 밥벌이는 보장된다. 밥벌이는 관점의 문제에서 출발한다. 주부의 세심함과 사소한 것에 대한 관심을 배워야 한다.


건강의 불평등

건강은 평등한가? 병은 가난한 이들에게 먼저 노크한다. 추위에 사시나무 떨듯이 떨고, 쇠약한 몸에 병이 내린다. 건강이라는 것도 이렇게 사회의 건강에 기대서고 있다. 내 한몸 추스리는 것도, 내 가족의 안위를 걱정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지만, 이렇게 너의 안위를 안쓰러워하는 일 역시 우리 일인 것이다. 이렇게 겹겹이 겹친 의료와 건강의 껍질을 말랑말랑하고 투명하게 하는 일 역시 생협의 한 몫일 것이다. 내 몸과 가족의 몸에서 사회적 건강으로 생각도 몸도 가까이하는 것이 생협의 정신일 것이다.


참터는 꼽사리다

참터가 곁에 있다. 과학과 기술에 대한 관점을 발라당 뒤집는 이들이 있다. 의심이 간다면 기대보자. 넓고 멀리 보고 싶다면 참터와 함께 끝까지 깊어지자. 설명을 못하는 것은 잘 모르기때문이라는 파인만아저씨를 믿어보자. 모르는 것은 내잘못이 아니라 설명하는 이의 책임이다. 뭔가 이건 아닌 것 같은데 하면 참터에 똑똑 두드려보자. 잘 설명할 수 있을때까지 노력하려는 참터의 전문가와 연구자에게 궁금증을 던지자.


쫄지마, 과학!! 아무것도 아니야!


여러분의 관심은 전문가를 동요하게 한다. 여러분의 추리는 연구자를 불안하게 한다. 하지만 그제서야 그들이 저들만의 시선에서 벗어나 우리들을 의식한다. 여러분의 탐문은 연구자와 전문가, 그리고 공생의  그들만의 리그에서 벗어나게 한다. 꼽사리인 참터와 함께 희망을 묻자.  

 

뱀발. 참터회원 모임을 준비한다. 참터회원이자 동시에 생협회원들의 만남이다. 뭔가 필요할 것 같아 뉴스레터 글을 어제 운영위 가운데 챙겨본다. 억지 춘향이다. 지난 해 여름 기술영향평가가 4회에 걸쳐 있었고, 민*레 의료생협도 있어 생각을 보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