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가는 문]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책으로 가는 문 - 이와나미 소년문고를 말하다
미야자키 하야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거의 읽지 않는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이, 커서 좋아하게 된 경우는 과연 얼마나 될까? 읽고 싶어도 없어서 못 읽었던 시절이 아니고서야, 아마 별로 없지 않을까 싶다. 주위를 둘러봐도 책 깨나 읽는다는 사람들 얘기는 하나같이 어릴 때는 지금보다 훨씬 더 좋아해서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는 말을 하는데, 심한 과장은 아닐 것 같다. 심지어 책을 몰래 읽다가 선생님이나 부모로부터 꾸지람을 들었을 정도라니 얼마나 읽는게 재미있고 좋았으면 그랬을까, 그 기질이 심히 부럽기만 하다. 아니몰래 볼 게 따로 있지!

 

 

지금은 그런대로 읽는 걸 좋아하게 된 나는 어릴 때는 책을 거의 읽지 않는 아이였다. 학창 시절 내내 주로 독서부에 가입했던 경력으로서 미루어서 의아한 구석이 아닐 수 없는데 어쨌든 대학에 가서야 자진해서 책을 읽게 되었고 어릴 때 습관이 이어진 경우는 분명 아닌 것이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딱히 책을 싫어하던 건 아니었는데 왜 그 지경까지 책과 담을 쌓고 살았나 싶다. 은근히 부모 탓으로 돌리는 말을 시작할 것 같아서 뭣하지만, 역시 환경 탓을 먼저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을 것 같다. 우리 부모가 보기에 내가 너무 공부에 관심이 없어 보여서 그랬던지 아니면 사는데 여유가 없어서였는지 모르지만 여느 집에나 꽂혀 있던 그 흔한 소년 문고 시리즈 하나 없었던 게 담 쌓고 산 이유가 아니었을지 조심스럽게 진단해본다. 집에 있던 책이라고는 고작 이웃이나 친척들이 물려준 곰팡이 그득한 세로쓰기 책들이었으니 손이 갈 리가 없지 않았을까. 지금처럼 동네 도서관이 있던 시절도 아니었고, 교실에 학급문고 몇 권 정도가 고작이었던 시절을 산 나는 읽기보다는 차라리 모래무덤이나 만들며 노는 편이 훨씬 더 재미있었다내 성격을 미루어 볼 때 대관절 내성적인 애가 책도 안 읽고 뭐하고 살았나 싶지만 안 읽은 것 보다는 환경이 그래서 어쩔 수 없었다라는 억지 핑계라도 대고 싶어지는 것이다. 만약 그 시절 책이라도 많이 읽었다면 지금의 내 삶이 조금은 더 밝게 작용하지 않았을까 싶은 아쉬움은 어쩔 수가 없는 것이다.

 

 

 

 

이 책 <책으로 가는 문>을 읽으면서 당연하게도 미야자키 하야오의 서재에는 양질의 책이 그득했기 때문에 뭐라도 됐구나 싶었다. 결국 방 안의 책은 그 사람을 이루는데 아주 중요한 자양분이 된다는 생각이 든다. 어린이를 사랑하고 문학을 아끼는 만큼이나 솎아 낸 몇 편의 소개가 더욱 반가운 것은 이와 같은 환경적 토대를 덩달아 누릴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인 것 같다. 이 책들을 읽고 어린 시절을 보낼 수많은 어린이들의 그득한 미소가 덩달아 떠올려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책으로 가는 문> 1부에는 미야자키 하야오가 남긴 책에 대한 단상 정도가 담겨 있다. 물론 어린이를 겨냥해서 쓴 소개가 맞지만 어른이 보기에도 유치하지 않을 기대감으로 설명한다. 짧지만 핵심적인 주제와 하야오만의 감상이 지루하지 않게 버무려져서 간결하게 소개되고 있다. 오십 편으로 간추리면서 그만의 특색 있는 기준을 엿보게 되는 것은 무척 흥미로운 부분이다. 읽지 못한 동화는 메모를 해두었다가 찾아보고 싶어지고 그림으로 보는 이야기의 서사도 궁금해진다.

2부에서는 주로 그의 작품 세계의 원작이 되었던 동화나 자전적인 이야기들이 주를 이룬다. 시대을 살아온 역사적인 맥락들, 그의 작품들의 원천이 되는 사상과 철학 등을 엿볼 수 있는 대목들이 많다. 얼마 전 은퇴 선언을 한 배경을 짐작할 때 그가 어떤 세계관, 역사관을 가지고 있나 진지하게 살펴봐야겠다 싶었는데 어릴 때 아버지와 논쟁한 대목만 읽어봐도 그의 진의를 알 수 있었다. 

 

 

 

책에 언급된 바와 같이 그의 작품세계는 굉장히 명확한 세계관으로 그려진 이야기들이다. 어린이만을 위한 쉬운 만화를 그린 것도 아니고, 교훈적이거나, 마냥 밝고 즐거운 삶을 그려낸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렇다. 그의 애니메이션들은 오히려 기괴하고, 말이 적고, 이상한 세상, 기묘한 분위기일 때 훨씬 더 매력적이다. 판타지 그득한 세상에 놓이게 되지만 결코 현실의 고리와, 역사성을 바닥 깔지 않고는 그의 만화를 상상하지 못한다.

그가 태어난 시절의 상황, 어쩔 수 없이 노스탤지어로서의 전쟁이 그려지는 논란이 맞물려 질 수밖에 없는 이유가 실제로 그의 만화 안에 존재한다. 2부에서 다뤄지는 그의 자전적인 이야기들이 주는 메시지들은 결국 소중한 책 한권으로 정립되는 한 사람의 세계관이라는 것일 테다. 그가 인생에서 중요하게 작용한 책들은 그의 직업 특성상 아주 많은 책들에서 비롯될 수밖에 없었다지만, 어떤 이에게 그것은 단 한권의 책일 수도 있다고 조언한다. 마음에 꽂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면 그것은 참 다행한 일이 아닐까 하고 말이다.

 

 

하야오는 결국 인생이라는 레일 위를 달릴 때 어떤 시련이 오더라도 극복해 낼 수 있는 작은 힘을 갖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해준다. 그 힘은 어릴 때 책에서 본 작은 재생의 힘이 모여 크고 작은 난관을 극복해나갈 수 있는 삶의 자세가 된다는 것이다. 그가 전하는, 책으로 가는 여러 문을 아주 많은 어린이들이 부지런히 드나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