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발렌타인, 3-14 화이트데이, 오늘은 4-14 블랙데이. 애인 없는 사람들이 홀로 짜장면 사 먹는 날. 근데 이거 언제부터 생긴 거지? 잘 기억이 안 난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새 배트맨 영화를 만들기로 했단다. 새 007영화도 내년 11월 개봉을 목표로 제작에 들어간단다. 두 씨리즈 팬인 내게는 좋은 소식. 

요새 이문열 세계명작산책을 읽는다. 예전에 1권 사랑의 여러 빛깔만 읽은 적 있는데 이번엔 10권 다 읽어 볼 생각이다. 96년 나온 초판으로 10권 다 마련했는데 표지에 나온 7명 작가 가운데 둘을 모르겠다. 왼쪽 둘째랑 오른쪽 셋째가 내가 모르는 얼굴인데 누굴까? 나머지 다섯은 왼쪽부터 헤밍웨이,플로베르,쌩떽쥐베리,톨스토이,헤쎄다. 독일말로 Herman을 헤르만이라고 안 읽고 허만이라고 읽는다고 들었는데 어느 쪽이 맞을까? 독일말 아는 누군가에게 물어봐야겠다. 

최근 우연히 알게 된 건데 시오노 나나미의 바다의 도시 이야기가 한길사에서 나오기 전에 다른 출판사에서 나온 일이 있다. 신한종합연구소라는 경제서적 출판사의 기업문화팀이 번역한 건데 93년에 출간됐었다. 그러고 보니 이 신한종합연구소 도몬 휴우지의 불씨라는 작품도 출간했었다. 김영삼이 대통령 되고 나서 불씨를 읽고 주위 사람들에게 권했다든가 해서 기업 및 정부부처 사람들이 많이 사들여서 베스트셀러가 됐던 책. 정말 김영삼이 불씨를 읽었을까? 난 그게 궁금하다. 

며칠 전 어느 책방에서 98년 현실과미래사에서 나온 이하라 사이카쿠의 호색일대남이 먼지를 뒤집어 쓴 채 안 팔리고 있는 걸 봤다. 돈 없어서 못 샀는데 -요새 내 경제상황 나쁘다- 돈 생기면 다시 가 봐야지. 어느 책방인지는 비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술 2011-04-14 17: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93년 신한종합연구소에서 낸 시오노 나나미 책 이름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일천년>이었고 상,하 두 권으로 나왔었다. 그러고 보니 내가 몰라서 그랬지 장미의 이름도 돌아가신 이윤기 선생님 번역 말고 다른 분이 번역한 것도 있더라. 헌책방에서 봤는데 <장미의 이름으로>라는 제목이었는데 출판사와 역자, 출판연도는 기억 안 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009년 국제교육협의회(IEA)가 세계의 중학교 2학년 학생 14만600여명을 설문한 'ICCS(국제 시민의식 교육연구)' 자료를 토대로 36개국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지표를 최근 계산한 결과, 한국이 0.31점(1점 만점)으로 35위에 그쳤다고 27일 밝혔다.

사회역량 지표는 '관계지향성' '사회적 협력' '갈등관리' 3개 영역에서 국가별 표준화 점수(그룹 내에서의 우열을 1∼0점으로 표기)를 매기고, 이 결과를 평균해 계산했다.

각 영역 점수는 지역사회ㆍ학내 단체의 참여 실적, 공동체와 외국인에 대한 견해, 분쟁의 민주적 해결 절차 등을 묻는 설문 등의 결과를 반영했다.

한국 청소년은 이번 '한국청소년 핵심역량진단조사' 연구에서 지역사회단체와 학내 자치 단체에서 자율적으로 활동한 실적의 비중이 높은 '관계 지향성'과 '사회적 협력' 부문의 점수가 모두 36개국 중 최하위(0점)였다.

반면, 갈등의 민주적 해결 절차와 관련한 지식을 중시한 '갈등관리' 영역에서만은 덴마크(1점)에 이어 0.94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사회역량 지표가 가장 뛰어난 곳은 태국(0.69점)이었고, 인도네시아(0.64), 아일랜드(0.60), 과테말라(0.59), 영국(0.53), 칠레(0.52) 등도 상위권에 속했다.

연구원의 김기헌 연구위원은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은 문화ㆍ사회경제적으로 이질적인 상대와 조화롭게 살아가는 능력과 연관돼, 세계화ㆍ다문화 시대의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중요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아이들이 지필 시험 성격이 강한 영역만 점수가 높고 대내외 활동과 관련된 부문의 결과가 극히 저조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지식 개발에 치중하는 정책을 바꿔 자율성을 길러줄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 청소년은 또 정부와 학교에 대한 신뢰도도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고 연구원은 전했다.

ICCS 설문에서 정부를 신뢰한다고 밝힌 한국 청소년은 전체의 20%에 불과해 참여국의 평균치인 62%보다 3분의 1에 불과했다.

정부를 신뢰한다는 반응이 많았던 나라로는 인도네시아(답변율 96%), 핀란드ㆍ리히텐슈타인(각 82%), 오스트리아(77%) 등이 있었다.

한국 아이들은 학교를 믿느냐는 질문에도 45%만 '그렇다'고 답해 ICCS 평균인 75%보다 훨씬 비율이 낮았다.

반면 인도네시아(96%), 태국(91%), 이탈리아(82%) 등은 학교에 대한 청소년의 신뢰도가 높아 대조를 이뤘다.

tae@yna.co.kr 

media.daum.net/society/view.html?cateid=1012&newsid=20110327053603885&p=yonhap 

---------------------------- 

청소년들만 탓할 순 없는 일. 딴 건 다 알겠는데 인도네시아 학생들이 정부,학교를 믿는다고 답한 게 이해 안 감. 못 믿는다고 대답하면 쓴맛을 보여주겠다고 인도네시아 어른들이 협박한 거 아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설가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첫아내이자 <나는 훌리아 아주머니와 결혼했다>의 모델인 훌리아와 콧수염 기른 젊은 마리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02-13 16: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aladdin 이었는데 aladin 으로 d 하나가 줄었다. 언제 바뀐 거지? 오래 전이면 둔한 나만 눈치 못 채고 있던 거였을 테고 어제나 그제 바뀐 거면 나도 맘 놔도 되겠네. 그건 그렇고 요새 자주 잊는다. 오늘 열쇠, 며칠 전 도서관에서 지갑 잊고 챙기지 않아 잃어버릴 뻔 했다. 조심하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이조부 2011-01-21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몰랐는데 덕분에 알게됬네요 ^^ ㅋ
 

책 이름은 첫사랑이고 출판사는 북리뷰.
광마님 책이 늘 그렇듯 자전적 요소가 깃든 사랑소설이다.
2000년대 초에 연세대 국문학과 동료들의 따돌리기 때문에 생긴 우울증을 최근 몇 해 동안의
왕성한 집필로 떨쳐버리신 거 같아 기쁘다.
발랄한 라라,사랑의 학교,일평생 연애주의 같은 최근작들도 난 다 좋았기에
이 책도 나는 많이 기대하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이조부 2011-01-21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우 기대되네요 ^^

심술 2011-01-24 17:23   좋아요 0 | URL
1월20일 사서 요새 읽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