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 1
카이지 카와구치 지음 / 세주문화 / 2000년 4월
평점 :
절판


저자인 가와구찌 가이지는 정치와 군사에 관한 작품에서 탁월한 역량을 발휘한다.

전공투 세대를 다룬 <메두사>도 있었고 2차 대전을 다룬 <지팡구>도 있다.

특히 <침묵의 함대>는 핵잠수함 하나가 미국으로 나아가면서 위협을 통해 자기의 주장을 전개한다. 결코 일본의 자위권에만 머물지도 않고 지배를 추구하지도 않는다. 그가 바라는 것은 보다 고차원적인 세계의 평화다. 패배자의 피해나 보복심리에서 벗어나 한층 스케일 큰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에 잡아 본 작품 <이글>은 클린턴의 시대가 끝나고 전개되는 대통령선거를 대상으로 삼는다. 작품의 매력으로는 우선 미국의 정치 구조를 알게 해준다. 각 주별로 전개되는 선거전의 원리와 작동방식을 매우 생생하게 잡아낸다. 마치 한편의 잘 짜여진 정치 드라마를 보는 듯한 기분이다. 이는 작품 속에서 작가가 주장하는 미국인들은 사소한 것도 축제를 만들어버린다는 말과 맥이 통한다.
선거전은 일종의 축제다. 사회적 제약이 없어지고 각종 욕망이 분출되어 마치 모든 것이 금방 바뀌어질 것 같은 광란의 장이 되어버린다. 정치인은 다 지키기 어려운 약속을 마구 행사하는데 그 대상은 때로는 대중이 되고 때로는 지지를 모으기 위한 다른 파벌들이 된다.
대중들은 이번에는 혹여 하면서 모여들어 스스로 조직체를 구성해 선거전에 몰두하고 이야기를 논한다.
이 과정을 꽤 꼼꼼하게 그려낸 것에 일단 그의 작품이 주는 값어치는 있다.

그럼 그것만일까? 절대 아니다. 주인공을 일본인 2세로 내세웠는데 그의 꿈은 미국의 대통령이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 그는 양면의 가치를 다 가지고 있다.  
하나는 미국의 정통 리더가 되기 위한 코스로서 명문 학교를 거치며 미식축구에서 쿼터백을 하고 전쟁에 자원해서 참여한다. 다음은 명문가문의 영애와 혼인을 해서 주류사회에 진입한다.
개인적으로 리더의 가장 핵심인 책임감을 강하게 가지지만 반면 필요할 때는 상대를 누르기 위해 기싸움도 하고 정보를 흘리는 선전전도 쉽게 자행한다. 비밀이 오가는 말을 녹취한 테입을 활용하기도 하고 뇌물수수의 근거를 가지고 소송에서 상대방을 압박하기도 한다. 실제 이는 미국 변호사들이 막대한 돈을 받아가며 살아가는 방식이다. 다시 확인하고 싶은 분들은 그리셤의 작품을 보시면 될 듯 하다.

그의 반쪽은 바로 일본인이다. 이민자의 후손으로 적지 않은 피가 섞여 있다. WASP 즉 백인 프로테스탄트만이 가능한 미국 사회의 리더를 이민자가 그것도 동양인이 도전한다는 스토리는 색다른 면모가 많다. 그렇지만 조금 시야를 돌려보면 페루의 후지모리가 바로 좋은 예가 되지 않을까한다. 당시 경제대국 일본의 막대한 원조를 기대하고 그가 대권을 쥐었다가 독재자가 되었고 마지막에는 일본으로 망명해버렸다.

이번에는 상대가 미국이기 때문에 어떻게 될 것인가? 대권후보의 입은 무기의 규제 나아가 세계 평화를 위한 거대한 한걸음으로 미국이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을 내어 놓는다. <침묵의 함대>가 파괴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의 평화를 가져오듯이 말이다.
내부적으로 미국이 안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를 하나씩 건드려가는 것도 재미있다.
뉴욕에서는 노회한 흑인 정치가와 흥정을 통해 지지를 유도한다. 실제 뉴욕시장은 흑인이 상당기간 수행했었다. 그런데 문제는 흑인들이 경제적 배경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기돈으로 직접 정치를 수행하기 보다 남의 돈을 끌어들이려는 유혹에 빠지기 쉽다는 점이다. 이를 교묘히 파고들어 자신의 강점인 장인이 은행을 하고 있는 덕분에 만들어지는 자금력으로 회유한다.
남부에 방문해서는 카우보이들이 모인 식당에서 스테이크를 먹으며 총기문제를 교묘히 풀어간다. 논쟁을 키워 가장 강한 상대를 끌어들여 담판을 전개한다.
공업지대에서는 노조와의 싸움이 나온다. 이미 권력화한 여러 노조들이 안고 있는 부패의 문제가 상대를 깨는 핵심요소가 된다.

이 과정 전반이 세세한 면까지 정확도를 고려해서 그려져 있다. 어지간한 미국 문화 도서를 보는 것 보다 훨씬 낫도록 잘 설명되어 있다. 외형으로 드러나는 보도자료 뿐이 아니라 이면에 담긴 진실을 더 잘 포함하고 있다.

덮고 보면 좀 황당한 내용이지 않냐고 물어보지만 벌써 한국인으로 유엔의 사무총장이 배출되었다. 이제 한국인 또한 자국만의 이해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내다보며 자신의 가치를 넓혀가야 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에서와 같이 고민의 폭을 꾸준히 넓혀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된다.

왜 한국에는 이 정도의 리얼리티를 가진 작품은 만화로 없을까? 잘해서 김진명의 작품을 만화하하면 비슷한 수준이 될까하는 생각이 잠시 머리를 스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