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류시화 지음 / 더숲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은 녹는점이었다. 글을 경계로 추웠던 마음은 따뜻함을 향해 허물어졌다. 농담이 아니었다. 외롭다, , 격하게 외롭다. 소름 돋는 이 고독을 냉큼 예술로 승화시켜야 해. 우스갯소리로 포장하여 친한 이에게 건네곤 했던 이 말은 사실 진심이었다. 내 말은 아재개그처럼 썰렁했지만 가끔은 웃겼고, 그 말 직전에는 더 자주 외롭고 추웠던 마음이 늘 앞서 있었다.

10여년 남짓 되었을까. 외로울 때면 책을 읽고 느낌을 글로 적었다. 그럴 때면 신기하게도 마음이 따뜻해졌다. 마음을 단지 글로 표현했을 뿐인데, 거울인 듯, 자화상인 듯 나의 글은 잔잔하게 내 자신을 보여주었다.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순간, 글을 쓰는 나는 글 안에 있는 나를 보는 관찰자가 되어 그 안에 담긴 마음을 토닥이고 있었다. ‘불완전하고 상처 입은 자신을 아름답게 재탄생시키는 것이 바로 삶의 예술이다. 흠과 결함을 더 창조적인 것으로 변신시키기 때문에 예술인 것이다.(p241)’아직 불완전하고 결점 많은 문장이 결정적인 흠이지만, 그래도 꿋꿋이 예술이라 세뇌하며 책을 읽고 감상을 남긴다. 그때마다 거짓말처럼 외로움이 위로가 되는 마법을 경험하며.

상처를 외면하지 말라. 붕대 감긴 곳을 보라. 빛은 상처 난 곳을 통해 네게 들어온다.(p183)’외면하거나 감추지 않기로 했다. ‘이 세상을 떠날 때, 당신이 가져갈 수 있는 유일한 것들은 당신의 가슴에 담긴 것들이다.(p266)’라는 말처럼, 가슴 뛰는 순간들을 많이 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싶다.

 

공전 소리는 너무 커서 오히려 들리지 않는다고 한다. 아주 깊은 슬픔에는 눈물조차 나오지 않듯이, 이 책이 그랬다. 이러다가는 책 한 권 통째로 필사하는 거 아닌가 싶을 정도로 마음을 울리는 문장들이 너무 많아서 일일이 옮겨 적기가 어려웠다. 근 한 달 동안 사무실 책상 위에, 안방 머리맡에, 커피 옆 테이블에 이 책이 놓였던 이유다. 난해한 문장은 단 한 줄도 없었건만 소설책 읽듯 쭉쭉 읽어 내릴 수 없었다. 한 장 한 장 책장을 잡는 손가락은 습자지를 넘기듯 조심스러웠다. 마음 역시 느린 화면이 재생되듯 천천히 움직였다. 명상록인 듯 잠언집인 듯 스스로를 돌아보고 주변을 돌아보고 삶을 돌아보도록 하는 내용들로 가득한 51편의 산문집이다. 나는 걷기 명상을 하는 사람이 되어 느릿느릿 문장의 뒤를 따라 책 속을 산책했다. 너무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문장들이 발끝에 닿는 풀잎인양 마음 곳곳을 툭툭 건드렸다.

 

마음속으로 다양한 부호들이 쏟아졌다.

물음표가 들어온 어느 날은 하루의 매듭을 묶기 전에 책 속의 문장을 따라 읽으며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졌다. ‘마지막으로 노래한 것이 언제인가? 마지막으로 춤춘 것이 언제인가? 마지막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한 것이 언제인가? 마지막으로 고요히 앉아 있었던 것이 언제인가?(p112~113)’, ‘오늘 놀라운 일은 무엇이었는가? 오늘 감동받거나 인상 깊은 일은 무엇이었는가? 오늘 나에게 영감을 준 일은 무엇이었는가?(p191)’

쉼표가 들어온 또 다른 날은 과감히 직장 일을 내려놓고 좋아하는 일(=웹 소설 판타스틱 남장신부몰아보기)을 했다. ‘인생은 쉼표 없는 악보와 같기 때문에 연주자가 필요할 때마다 스스로 쉼표를 매겨 가며 연주해야한 한다.(p15)’심적으로 힘들다는 친한 지인에게 카카오 톡으로 이 문장을 보내기도 했다. 그녀는 위로가 되었다며 격하게 공감을 했다.

느낌표가 들어온 날도 있었다. 많은 위로를 받고 잠이 들었다. ‘마음이 담겨 있다면 그 길은 좋은 길이고, 그렇지 않다면 그 길은 무의미한 길이다.(p45)’간혹 주춤거릴 때가 있었다. 시를 쓰거나 글을 쓰면서 퇴근 후의 시간을 보낼 때, 전공과는 전혀 반대편에 있는 이 일이 과연 의미가 있는 일인 걸까 하는 생각에. 그 때에도, 으슬으슬 몸이 떨려 털스웨터에 야상까지 입고 굳이 커피숍에 온 4월 하순의 지금도, 나의 글에는 나의 온 마음이 담겨있으니. 이 길은 분명 좋은 길일 것이다. 박하사탕을 입에 넣은 듯 마음이 화해졌다.

화살표가 들어온 날에는 든든한 동지를 얻은 듯했다. ‘내가 지금 걸어가는 이 길, 누군가는 그 길을 걸었으며, 지금도 누군가는 나처럼 길을 걷고 있고, 또 누군가는 그 길을 걸어갈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p78)’문장에서의이 물리적인 의미만은 아닐 것이다. 혼자 떠나는 여행이라도 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어디를 향하든 마음이 향하는 곳이라면 씩씩하게 걸어가고 싶은 용기가 생겼다.

책을 읽는 모든 날이 좋았다. 잠시 무로 돌아가셨던 그분이 떠오를 정도로 내내 마음이 편하고 행복했다.

 

마음의 연필을 들고, 나와 나의 삶과 사람들과의 관계를 스케치했다.

왜 나에게만 이런 일이. 내가 행복해지려면 다시 태어나는 수밖에 없다며 비관적인 시선을 가졌던, 어느 책 속 등장인물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던 때가 있었다. 우물을 향해 던져진 작은 돌멩이가 개구리에게는 생존을 위협하는 대상이 되듯, 마음을 할퀴는 상처는 철저하게 상대적이다. 누구도 절대적인 크기로 상처의 깊이를 속단할 수는 없다. 상처투성이의 마음을 그러안은 나는 어리석게도 세상을 탓한다. ‘밖에서 날아오는 화살은 피하거나 도망치면 그만이다. 그러나 자기 안에서 스스로에게 쏘는 화살은 피할 길이 없다.(p139)’땅에 떨어진 화살을 굳이 주워서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혀온 것도 깨닫지 못한 채.

독일의 사상가 마르틴 부버는 인간이 맺는 두 종류의 관계를 -의 관계와 -그것의 관계로 분류했다고 한다.(p256) 그의 시선이 참신하다. 주변 사람들을 한 명 한 명 떠올려본다. 어떤 이는 이고, 또 다른 이는 그것에 가깝다. 다른 무엇으로도 대체될 수 있는 그것이 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한다. 나도, 내 글도.

 

이번 달 독서모임의 토론도서는 소설이었다. 마음이 지쳐있던 한 달 전, 소설을 한 호흡으로 길게 읽어 내려가기 부담스러웠을 때, 이 책을 가볍게 집어 들었다. 근 한 달간 이 책을 읽고, 힘을 얻은 나는 이틀 만에 토론도서 읽기와 독후감을 클리어 한다. ‘때로는 우회로가 지름길이다. 삶이 우리를 우회로로 데려가고, 그 우회로가 뜻밖의 선물과 예상하지 못한 만남을 안겨 준다.(p83)’우회로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머문 셈이다. 선물과도 같은 책이고, 따뜻한 책이고, 스스로 다시 걸어갈 수 있도록 힘을 주는 책이다.

나무에 앉은 새는 가지가 부러질까 두려워하지 않는다. 새는 나무가 아니라 자신의 날개를 믿기 때문이다.(p204)’가장 위로가 된 문장이다. 자유롭게 날아가는 새처럼, 이렇게 잠시 쉬어도 가면서 가슴 뛰는 순간들로 내 삶을 채워가고 싶다. 마음 어딘가 달려있을 나만의 날개를 믿어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