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aladin.co.kr/img/shop/19_85cover.png)
-
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 ㅣ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8
이종호 외 9인 지음 / 황금가지 / 2006년 11월
평점 :
2006년 작년에 이 작품이 한국 간행물 윤리 위원회에서 유해 도서 판정을 받았다. 그때 난 이 책을 안 본 상태였지만 분노할 수밖에 없었다. 아직까지 그런 일이 일어난다는 사실에 머리카락이 쭈뼛 섰고 바로 그것이 진짜 인간에게 행해지는 잔악한 공포임을 알기 때문이다. 인간의 역사에서는 많은 금서들이 있었고 불태워졌다. 이유는 제각각이었지만 그 시대를 알고 지금 그런 금서들을 읽고 있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가 금서를 조장하고 만들어내고 있다는 사실은 그 당시 자신의 책이 금서로 낙인찍히고 불태워지는 것을 본 작가, 그런 글을 썼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해야 했던 작가들의 분노와 공포를 되새기게 만들었다.
이 작품들이 유해 도서라면 도대체 어떤 도서가 유해도서가 아닌지 그 판단의 기준은 무엇이고 과연 그들이 감히 누구를 향해 어떤 책은 읽고 어떤 책은 읽지 말라는 식으로 평가하고 조장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진짜 공포는 바로 당신들이 우리에게 주고 있다는 사실을 독자인 나는 감히 말하고 싶다. 누가 독자에게 책을 읽을 권리를 박탈할 수 있으며 누가 감히 작가에게 글을 쓸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단 말인가. 우리에게는 어떤 책도 볼 권리가 있다. 우리의 행복추구권을 더 이상 침해하지 말기 바란다!!!
모두 열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이 단편집은 내가 그동안 절대 손에 잡지 않았던 공포 문학에 대한 생각을 바꿀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대단히 감사한 일이다. 인간의 근원적인 공포를 잘 전달하고 있는 각 작품들을 나는 공포보다는 추리적으로 읽었다. 이는 내가 책을 보는 방식이니 나무라지 마시기를. 그렇게 보니 공포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그 공포가 다양한 형태로 예를 들면 김종일의 <일방통행>, 권정은의 <은둔>, 엄성용의 <감옥>, 우명희의 <들개>, 박동식의 <모텔 탈출기>는 일상적이고 우리가 알고 있는 미스터리적 요소가 가미된 심리적 공포를 표현하고 있다.
신진오의 <상자>에서는 다소 고전적이면서도 상자라는 매개체를 등장시켜 독특한 공포를 만들어 냈고, 최민호의 <흉포한 입>과 장은호의 <하등인간>은 SF적인 형태를 취하면서 그것을 이용한 개인 또는 대중의 심리적 공포를 나타냈는데 특히 <하등인간>은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이에 대한 맹목적 복종과 맹신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지 잘 보여주고 있다.
이종호의 <아내의 남자>와 김민영의 <깊고 푸른 공허함>은 의학적인 메디컬 스릴러의 느낌을 주면서 공포를 잘 드러내고 있는데 김민영의 <깊고 푸른 공허함>은 <프랑켄슈타인>을 연상시키면서도 지금의 유전공학이 신의 영역에 대한 도전은 아닌지 생각하게 만들면서 그것이 잘못된다면 어떤 공포로 돌아올지를 알게 해주고 있다.
이 작품들이 청소년 유해물로 읽으면 안 되는 것이라면 조지 오웰의 작품과 메리 셀리의 작품과 에드거 앨런 포우의 작품들은 우리가 왜 읽어야 하는지 다시 묻고 싶다. 이렇게 좋은 작품들은 사실 추리 소설적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우리나라 장르 문학, 특히 추리와 공포 문학이 발전을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었다. 발전할 만하면 걸고 넘어 지는 이들이 오늘날 우리 문학계가 기형적으로 다른 나라 작품들만 읽게 만든 것이다. 잔인하다고 생각한다면 일본 소설은 이것보다 더하다고 말해주고 싶다. 일본 소설이 지금 얼마나 우리나라에서 각광받고 있는지를 생각해 볼 때 이런 우리 문학의 발목을 잡아 우리 작가들이 자기 검열에 빠지게 만든 이들에게 그 공을 돌려야 하지 않을까 싶다.
나는 정말 좋은 작품들을 읽었다. 우리에게 누군가 책을 못 읽게 막는다면 독자인 우리가 나서서 작가들에게 힘이 되어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작품집 꼭 읽어보시기 바란다. 당신이 이 책을 사서 읽는 그 순간 우리 문학의 발전의 디딤돌이 다져지게 되는 것이다. 그 누군가 흔들고자 애를 써도 절대 흔들리지 않는!!! 우리가 뿌리 깊은 나무 한그루를 심고 가꾸는 마음으로 좋은 작품과 좋은 작가들을 지켰으면 하는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