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김인

 

알콜이라면 한방울도 마시지 않던 내게
적당한 취기가 세상을 아름답게 보게 한다는 진리를 알게해준
신의 선물 - 포도주.

좋은 와인은 색, 향, 맛이 풍부하고 다채롭다.
나또한 그와 같은 사람이 되고싶다..

사진은 프랑스 보르도 지방에서 만들어진
샤또 딸보 그랑크루 (Ch' Talbot, 1998)

김인숙 * 모텔 알프스

8 (최종회)숙 * 모텔 알프스 8 (최종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플레져 2004-05-15 16: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제가 즐겨 마시는 와인은 모두 칠레산인데...^^ 딸보 같은 비싼 와인은 아직 접근을 못했어요... 자주 놀러오겠습니다, 와인이 있는 서재라 더 매혹적이네요~ ^^

motoven 2004-05-20 0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칠레산이 가격 대비에 비해 맛도 괜찮고, 우리 나라 사람들 취향에 맞는 것 같아요.
저도 딸보는 몇번 못 마셔봤어요.
저렴한 테이블 와인이 아직은 제게 어울릴때죠..^^
 

우리가 마신 와인^^
Huat-Medoc의 5등급인 샤또벨그라브
까막까치밥나무 열매향이 강렬하고
오크통을 토스트한 탄향도 약간 난듯.
Grand cru wine을 마셨다.^^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와인 맛을 보고 그 와인을 평가하고 인정한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이 와인을 마시게 하는 이유가 될 것입니다. 또한 이것은 그리 쉬운 일도 아닙니다.

그러나 특별할 것도 없습니다. 와인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여러 복잡한 방법들이 있겠지만 여기에 서는 쉬운 방법으로 와인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들을 나열했는데 여러분에게 유용하게 쓰이기를 바랍니다.


와인의 맛을 평가하는 데에는 세 가지의 기본 요소가 있는데

처음에는 와인의 색을 보고, 그 다음에는 와인의 향기, 마지막으로 와인의 맛을 봅니다.



색은 빈티지(포도수확기), 와인종류, 숙성기간, 스타일에 따라 다릅니다. 와인의 색을 먼저 보게 되면 와인의 종류와 와인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 혹은 변질이 되지는 않았는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먼저 와인 잔을 들어 흰 백지에 비추어 보든지 밝은 빛에 비추어서 와인의 색을 보시기 바랍니다.


▶화이트 와인

창백한 노란색을 띠는 와인 종류
-샤블리(Chablis), 독일산 리즐링(Riesling),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볏짚의 색깔을 띠는 와인 종류
-게뷰르쯔트레미너(Gewurztraminer), 슈넹 블랑 (Chenin Blanc), 리즐링
(Riesling)

버터 색깔과 유사한 와인 종류
-샤도네(Chardonnay), 프랑스산 버건디 (Burgundy)

금빛과 유사한 와인 종류
-디저트용 와인종류, 숙성이 많이 된 화이트 와인들

▶레드 와인

핑크색 이나 보라색을 띠는 와인 종류
-페티트 쉬라(Petite Sirah)

진한 적색을 띠는 와인 종류
-까베르네 소비뇽(Cab Sauvignon), 보르도 지역 와인들, 멜로(Merlot)

밝은 적색을 띠는 와인 종류
-피노 누아(Pinot Noir), 버건디(Burgundy)

보라빛을 띠는 밝은 적색 와인 종류
-보졸레 지역 와인

▶와인의 농도

레드 와인에 있어서 농도는 불투명한 색에서 투명한 색까지 있는데 오래된 와인 일수록 와인잔 끝부분을 보면 약간 갈색빛을 띠게 됩니다.

▶투명성

투명하고 반짝 반짝 빛이 나는지 혼탁한지를 구분합니다. 혼탁하다면 변질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문가의 이야기에 따르면, 와인의 향기는 와인에 대해 좀 더 많은 것을 말해 준다고 합니다. 와인의 부케는 통상 여러 성격의 포도 종류를 구분하여 줍니다. 그 와인의 부케를 맡아서 알기 위해서는 먼저 와인이 든 잔을 돌려서 와인이 와인잔 표면적에 점차 넓어지면 천천히 코로 깊게 와인의 향기를 맡아봅니다.


와인 종류에 따라 아래와 같은 향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화이트 와인

샤도네(Chardonnay)
-배, 사과, 파인애플, 멜론, 레몬, 바닐라, 클로버

슈넹 블랑(Chenin Blanc)
-배, 복숭아, 잘익은 멜론, 레몬, 셀러리

게뷰르츠트레미너 (Gewurztraminer)
-장미, 리치향

리즐링(Riesling)
-녹색사과, 살구, 복숭아, 꿀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자몽, 레몬, 신선향 허브향, 잔디향, 연기, 부싯돌

세미용(Semillion)
-잔디, 레몬, 땅콩, 버터

비오니어(Viognier)
-살구, 신선한 꽃향기

▶레드 와인

까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나무, 시가 박스, 민트, 블랙 커런트, 클로버, 계피향, 고추, 올리브, 쵸코렛, 크림향

가메이(Gamay)
-신선한 딸기, 딸기소다, 계피 크림

그리나슈(Grenache)
-토양, 검은 후추, 오얏, 커피, 매운향

멜로(Merlot)
-쵸코렛, 바이올릿, 오렌지, 오얏, 블랙

피노 누아(Pinot Noir)
-나무연기, 습기찬 토양, 버섯, 딸기, 헛간냄새,크림향

산지오베제(Sangiovese)
-담배, 연기, 매운향, 건포도

쉬라(Sirah)
-검은 후추, 블랙베리쨈, 블랙베리, 오렌지, 오얏

템프라닐로(Tempranillo)
-토양, 버섯, 나무

진판델(Zinfandel)
-라스베리, 쵸코렛, 블랙체리, 클로버. 검은후추


▶변질된 와인

식초향, 흙, 고무, 석유, 양배추, 황, 생선, 젖은모, 메니큐어 에나멜, 젖은카드보드, 콜크향, 곰팡이냄새


마지막으로, 와인의 맛을 봄으로서 와인의 종류와 생산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와인의 빈티지와 스타일까지 이야기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맛을 보기 위해서는 약간의 와인을 입에 넣고 치아 사이로 공기를 들이켜서 잠시 동안 와인을 혀의 중간에 두고 와인의 특성을 느껴보도록 합니다. 그러면 6가지 정도의 와인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향

신선함, 꽃향기, 과일향, 매운향, 토양, 연기, 버터, 땅콩, 콜크,곰팡이

▶산도

화이트 와인인 경우

산도가 강한 경우 : 드라이함, 산뜻함, 짜릿함
중간 정도의 산도인 경우 : 산뜻함, 짜릿함
낮은 산도의 경우 : 달콤하고 원숙하다

▶타닌산

레드 와인인 경우

높은 타닌 : 휘발성이 강한 쓴맛, 드라이하다
낮은 타닌 : 부드러우며 마시기가 쉽다

▶바디(Body)/웨이트(입안에서 느끼는 와인의 중량)

꽉찬 듯(Full) 하거나 중간정도(Medium) 혹은 가벼운(Light) 느낌

▶오크

오크나무 성분이 있는지 없는지 구분

▶마무리

와인을 맛보고 난 후에 입안에 머무는 느낌의 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와인명 : MAMRE BROOK CABERNET SAUVIGNON 2001
생산지 : 호주, Barossa Valley
생산자 : Saltram
포도품종 : CABERNET SAUVIGNON
알코올 도수 : 14.3%
수입회사 : 나라푸드


테이스팅 노트: 2001년산 Mamre Brook 카버네 소비뇽은 깊고 풍부한 자줏빛을 띠며, 자두, dark berry 및 초컬릿의 복합적인 향을 갖고 있습니다. 맛의 특징으로는, 풍부한 층을 이루는 구조가 응축된 자줏빛 berry와 black berry 풍미를 보여 주며 좋은 탄닌과 훌륭한 여운을 지니고 있습니다. 추천 할 음식으로는 콩을 재료로 한 스프, 조미된 육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샤샤뉴 몽라쉐 AOC 1997 & 뽀마르 AOC 1999
Chassagne Montrachet AOC 1997 & Pommard AOC 1999




샤샤뉴 몽라쉐 AOC 1997는 풀바디(full body)한 화이트 와인으로 광물질에 의한 묵직한 질감과 향이 특징적이다.
이 와인이 탄생한 1997년은 가장 우수한 빈티지 중에 하나이다. 오크 배럴에서 발효되었고 10~12개월간 오크통에서 숙성되었다.
크림소스 파스타, 닭고기 요리, 거위간, 햄, 베이컨 등의 요리와 잘 어울린다.
짙은 검붉은색을 띠는 뽀마르 AOC 1999는 벨벳결의 강하고 풍한 탄닌이 과일향과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어 우아한 뒷맛을 남긴다. 마시기 가장 좋은 시기는 병입 후 5~15년 사이다.
양고기, 림스테이크, 오리구이 등의 요리나 치즈류와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