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의 그림자 1
매튜 펄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원래 어떤 책을 읽든지 리뷰가 술술 흘러나오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책은 그중에서도 정말 최고다. 아무런 생각이 나지 않는다,고 해야하나? 피곤하기도 하고 해서 중간중간 졸면서 꾸역꾸역 책장만 넘긴 틈새를 여지없이 파고들었던 지루함은 리뷰 쓰기를 더 힘들게 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물론 처음부터 끝까지 지루하다, 라고 한다면 그것 또한 거짓말이 되는 것이고.. 이걸 대체 어떻게 설명을 해야 '포의 그림자'를 제대로 읽었다는 티를 좀 낼 수 있으려나?
전체적인 이야기의 흐름은 교묘하게 역사적인 사실과 허구를 맞물리게 하면서 이어진다. 의문의 죽음을 맞이한 포의 행적을 좇아 그의 죽음의 비밀을 파헤치려고 하는 열성적인 포의 추종자 이야기라는 것은 표면적인 이야기의 줄거리이고 그 안에 담겨있는 내용은 무엇일까?
포의 작품속에 나오는 뒤팽의 모델이 된 실제 인물을 찾아 프랑스를 찾아가고, 결국 두명의 유력한 후보자가 나타나고 포의 죽음에 얽힌 의문을 풀기 위해 그들은 다시 미국으로 포의 여정을 따라간다.
이 과정에서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 같이 맞물려 가는데, 이러한 구조가 내게는 오히려 작품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려버렸다. 역사에 대한 그럴듯한 이야기라거나 포의 죽음이라거나 포의 죽음에 대한 의문을 파헤치려는 두 남작에게 주어진 개연성이 역사적으로 그럴듯하게 포장된 느낌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어쩌면 내가 이 책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 탓일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역시 추리소설의 묘미는 이유를 알 수 없이 전개되는 이야기 속에서 결국은 그럴듯한, 아니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인과관계와 짜임새 있는 구조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추리소설의 재미를 담고 있는 이 책 역시 꽤 흥미로운 작품이라고 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한가지 더 붙이자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실질적인 주인공 퀜틴 클라크 무모한 열정으로 모든 것을 다 잃은 듯 보이지만, 또한 그 무모하게 여겨지는 열정이 그의 진심을 보여주고 진실을 밝혀주고 있다. 이 작픔의 의미는 작게, 그렇게 느낄수도 있다는 것.
![](/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포는 파리를 다룬 신문기사를 보고 뒤팽을 착안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뒤팽을 착안했다. 그의 삶이나 바깥 세상이 아니라 그의 문장과 그 진실 속에 에드거 포의 의미가 들어 있다는 닐슨 포의 말이 귓전에서 계속 맴돌았다. 뒤팽은 '실존 인물'이었다. 그는 이야기속에 존재했고, 뒤팽의 진실은 우리 모두의 가능성 속에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었다. 그는 우리 한 사람이 아니라 우리 안에 있는 우리의 일부였고, 이름이나 특정면에서 약간 넓은 어떤 이보다 훨씬 어떤 이보다 훨씬 강한 우리의 집함체였다. (146)
|
|
|
|
![](/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