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너를 알었을 때 >

            내 너를 알었을 때
            너는, 조그맣고 귀여운 계집애였다.
            그 때에 넌, 순진스런 미소와
            애틋한 그리움을 알고 있었다.

            나 너를 좋아했고
            너 또한 날 좋아했다.

            그것이 우리들의 봄 !
            때로 싸늘한 바람 있었어도
            그러나, 내게는 행복이었다.

            내 너를 사랑했을 때
            너는, 조그맣고 어여쁜 소녀였었다.
            그 때의 넌, 아름다운 꿈과
            꿈같이 아름다운 사랑을 알고 있었다.

            나 너를 열열히 사랑했고
            너 또한 날 그렇게 사랑하였다.

            그것이 대지의 여름 !
            하늘과 땅의 키스였노라.
            그러나 성하(盛夏)는 오는듯이 갔어라.

            내 너를 잃었을 때
            너는 커다랗고 요염한 처녀였었다.
            그 때의 넌, 사치스런 교태와
            갈대의 마음을 알고 있었다.

            나 너를 사랑했고
            너 나를 떠났어라.

            그것이 조락(凋落) 의 가을 !
            낙엽은 바람에 날리우고
            나는 울었어라, 소녀처럼 울었어라.

            내 너를 추억할 때
            너는, 조그맣고 귀여운 계집애노라.
            이별 할 때 넌, 성숙했으나
            내게는 서투른 처녀이었다.

            나 너를 생각하고
            너 또한 날 추억하리라.

            그것이 조춘(早春)의 황혼 !
            우리들의 사랑도 끝남이어라.
            머언 후일 너와 나 만나는 날 있으면
            그 때에 넌, 수확의 가을과
            아늑한 겨울을 무어라고 말 할것이랴 !

 

 

마이페이퍼 링크 주소 : http://www.aladin.co.kr/foryou/mypaper/231121
   
지족초4년박예진(mail) 2004-02-18 08:31
계절을 표현하신 건가? 아니면 진짜 할아버지 .. 사랑을 쓰신 건가? 어리둥절하네요...!
 
水巖(수암)(mail) 2004-02-18 09:41
인생은 계절과 같은게 아닌가요? 사랑도 계절과 같은것은 아닐까요. 아무러면 어떼요?
그냥 인생길에 오고 간 이야긴들....
올 겨울은 춥기만 한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病    床    錄 

                                                      -  김      관      식  -

 

          病名도  모르는  채  시름  시름  앓으며

          몸져  누은  지  이제  10년

          高速道路는  뚫려도  내가  살  길은  없는  것이냐

.          肝,  心,  脾,  肺,  腎..........

         五臟이  어디  한  군데  성한  데  없이

          生物學  교실의  골격표본처럼

          뼈만  앙상한  이  극한상한에서........

          어두운  밤  턴넬을  지내는

          디이젤의  엔진  소리

          나는  또  숨이  가쁘다.  열이  오른다

          기침이  난다.

          머리맡을  뒤져도  물  한  모금  없다.

          하는  수  없이  일어나  등잔에  불을  붙인다.

          방안  하나  가득찬  철모르는  어린것들.

          제멋대로  그저  아무렇게나  가로세로  드러누어

          고단한  숨결은  한창  얼크러  졌는데

          문득  둘째의  등록금과  발가락  나온  운동화가  어른거린다.

         내가  막상  가는  날은  너희는  누구에게  손을  벌리랴.

          가여운  내  아들딸들아,

          가난함에  행여  주눅들지  말라.

          사람은  憂患에서   살고  安樂에서  죽는것,

          白金  도가니에  넣어  단련할수록 훌륭한  보검이  된다.

          아하,  새벽은  아직  멀었나  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34.  3.  3.(음)  충남  논산군  연무읍에서  출생.  강경으로  이사.   강경상고 졸업(1952) 충남대학 입학  고려대학교 전학.  처녀시집  [ 落花集 ] 신한문화사  간.

  동국대학교  전학  최남선,  오세창 등에게서  성리학,  동양학,  서예등을  사사 받음(1953)

  서울상고  교사(1955 ~ 1959)    세계일보  논설위원(1959.  26세)  민의원  출마( 장면과 겨루기  위하여  용산 갑구에 출마.  1960)    1970년 지병으로  8. 30.  오전  11시  타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손      님 

                                                                               -  김      동      명  -

 

          아이야,  너는  이말을  몰고  저  목초밭에  나아가  풀을  먹여라,  그리고  돌아와  방을 정히 치워  놓고  촉대를  깨끗이  닦아두기를  잊어서는  아니된다.

          자,  그러면  여보게,  우리는  잠간  저  산등에  올라가서  지는  해에  고별을  보내고,  강가에 내려가서  발을  씻지  않으려나.  하면  황혼은  돌아오는  길  위에서  우리를  맞으며  향수의 미풍을  보내  그대의  옷자락을  희롱하리.

 

          아이야,  이제는  촉대에  불을  혀허라.  그리고  나아가  삽짝문을  걸어  두어라.  부질없는 방문객이  귀빈을  맞은  이  밤에도  또  번거러히  내  문을  두다리면  어쩌랴 !

          자,  그러면  여보게,  밤은  길겠다.  우선  한곡조  그대의  좋아하는  유랑의  노래부터 불러주게나.  거기에는  떠도는  구름조각의  호탕한  정취가  있어  내  낮은  천정으로  하여금 족히  한  적은  하늘이  되게하고  또  흐르는  물결의  유유한  음율이  어서  내  하염없는 번뇌의  지푸라기를  띄워  주데그려.

          아이야,  내  악기를  이리  가져  오너라.  손이  브르거늘  주인에겐들  어찌  한가락의  화답이  없을가보냐,  나는  원래  서투른  악사라,  고롭지  못한  음조에  손은  필연  웃으렸다. 하지만  웃은들  어떠랴 !

          그리고  아이야,  날이  밝거던  곧  말께  손질을  곱게해서  안장을  지어  두기를  잊지말어라.
          손님의  내일  길이  또한  바쁘시다누나.

          자,  그러면  여보게,  잠은  내일  낮  나무  그늘로  밀우고  이  밤은  노래로  새이세그려.
          내  비록  서투르나마  그대의  곡조에  내  악기를  맟춰보리.  그리고  날이  새이면 나는 결코  그대의  길을  더디게  하지는  않으려네.
          허나  그대가  떠나기가  바쁘게  나는  다시  돌아오는  그대의  말  방울  소리를  기달릴터이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01 ~ 1968  강원도  강릉  출생.  아호는  초허(超虛)
  일본  아오야마(靑山)학원  사학부  졸업.
  함흥  영성중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가  이대  교수로  감.

  시집으로  [ 나의  거문고 ],  [ 파 초 ],  [ 하늘 ],  [ 삼팔선 ],  [ 진주만] 등이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  여  인 

 

          조그만  비들기같이
          하이얀  여인이  있었습니다

          누구에게나  웃어  주었고
          아무에게나  친절했지만

          조그만  가숨속에  묻흰  오뇌를
          알어주는  이는  적었습니다

          까아만  호숫가의  슬픔이며
          여운을  남기던  쓸쓸한  미소들을

          누가  압니까 ?

          바람부는  날이면
          눈치를  보고

          비 오는  밤이면
          몸을  도사리면서

          몰래  심어  본  화심(花心)이
          햇빛을  외면한채  꽃멍울  맺는데

          그  밤으로  여인은
          멀고  먼   전원으로  떠났답니다

          조그만  사슴같이
          슬픈  여인이 있었었는데

          그  여인은  내게서  떠난
          마지막  사랑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푸라타나스 

                                                   -  김      현      승  -

 

          꿈을  아느냐  네게  물으면
          푸라타나스 !
          너의  머리는  어느덧  파아란  하늘에  젖어있다.

          너는  사모할 줄  모르나
          푸라타나스 !
          너는  네게  있는것으로  그늘을  느린다

          먼길에  올제
          호올로  되어  외로울제
          푸라타나스 !
          너는  그  길을  나와  함께  걸었다

          이제  너의  뿌리  깊이
          영혼을  불어넣고  가도  좋으련만
          푸라타나스 !
          나는  너와  함께  신이  아니다

          수고론  우리의  길이  다  하는  오늘,
          푸라타나스 !
          너를  맞여  줄  검은  흙이  어느  머언  곳에  따로이  있느냐
          나는  오직  너를  지켜  내일도  네  이웃이  되고  싶을뿐
          그곳은  아름다운  별과  나의  사랑하는  창이  열린  길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13 - 1975   전남 광주 출생.    호는  남풍(南風),  다형(茶兄)
  평양 숭실중학, 숭실전문 문과 졸업.
  1934년 숭실전문시절 <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때 당신들은 >을 발표 데뷔.
  1973년 서울시 문화상 수상
    기독교적  주지  시인.
    시집으로  [ 김현승 시초 ] 1957,  [ 옹호자의  노래 ]1963 ,  [ 견고한  고독 ] ,  [ 절대  고독 ]1970 ,  [ 김현승 시전집 ]1974.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