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Das Parfum, 1985, 독일)
파트릭 쥐스킨트(Patrick Süskind, 1949- , 뮌헨)
강명순 역
열린책들
2006.5.10 두레문고

 

 


한 10년쯤 꾸물거렸나보다. 뭐 그리 대단한 것도 아닌데, 읽기를, 사기를 굉장히 오랫동안 망설였다.
그리고 오늘 또 거의 1년 만에 미용실엘 갔다. 단골로 가는 미용실 디자이너 언니는 나처럼 뜨문뜨문 오는 손님도 얼굴을 기억하다니 눈썰미가 대단하다.
사실 미용실에 가기 싫은 건 물론 돈이 많이 든다는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크지만, 거의 하루를 다잡아 먹는 시간이 아깝다는 이유도 무시할 순 없다. 그 시간에 내가 중요한 다른 무언가를 꼭 하지 않아도 말이다. 그리고 가장 큰 이유는 머리를 하고 앉아 있는게 너무너무 지루하다. 난 가끔 아주 절실하고 진심으로 내가 남자로 태어났어야 했다고 생각한다.
미용실에나 가야 1년에 한 번 볼 수 있는 잡지들은 그야말로 내겐 1년치 유행을 한꺼번에 알려주긴 한다. 그것들을 보고 있으면 내가 왠지 아주 잘못 살아왔구나 하는 느낌이 들면서, 살도 빼고, 예쁜 옷도 사고, 화장품도 장만하고, 팩도 만들어보고, 치마도 한 번 사보고 등등 여자로서의 반성(?)에서 앞으로의 인생 계획에 대한 당찬 결의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만감이 교차한다. 그렇지만 이런 결심들은 작심 3일도 못가는 시한부 결심이다.
그리고 대부분은, 내 몸매가 그런 유행을 받쳐주기엔 너무나 그.. 뭐랄까 부적절한 측면들을 갖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바, 잡지 속의 예쁜 언니들은 내가 범접할 수 없는 타자들이다.
이러저러한 이유들로, 나는 집에서 책을 가져가기로 생각하고 집중이 잘 될만한하고, 4시간이면 다 읽을 수 있는 얇은 책을 골라봤다. 얼마 전 책 주문할 때 딸려 온 도서목록. 따로 시간내서 읽기는 좀 뭐해서 미뤄두고 있었는데 잘됐다 싶었다. 그런데 지하철 네 정거장 가는 동안 보니 이게 생각보다 너무 재미없고 집중이 안되는 것이다.

핑계겸 나는 또 근처 서점으로 갔다. 책세상 문고나 살림총서 중에 하나, 만원이 안넘는 것으로 사야지 마음먹고 들어갔는데, 웬걸. 찜해놨던 책들이 여기저기 나를 유혹하고 있었다. 결국 40분을 서성였다. 온다 리쿠의 '밤의 피크닉', '바사리 평전', 플로베르의 '부바르와 페퀴셰', 진중권의 '시칠리아의 암소' 등등. 그중에서 심하게 나를 망설이게 한 건 요슈타인 가아더의 '이야기 파는 남자'였다. 한 다섯 번은 들었다 논 뒤 난 매몰차게 돌아섰다. 그랬는데 기둥 책꽂이에 열린책들 출판사의 책들이 보였다.  
거기에 '향수'가 있었다.
두 가지 판본이 나란히 꽂혀 있었는데, 하나는 양장본이고 하나는 올해 2월에 찍어낸 반양장본이었다. 반양장본은 프랑스의 뽀슈판처럼 종이가 누렇고 갱지같으며 특유의 냄새가 있다. 무엇보다 좋은 건 한손에 잡히는 크기에 '가볍다'는 것이다. 게다가 양장본보다 2천원이나 싸다(근데 제기랄, 인터넷 서점에선 양장본은 30%, 반양장은 10%를 에누리해서 결국엔 양장본이 더 싸네! 이럴땐 그냥 책은 값으로 따질 수 없다, 고 위안하는 수밖에).  
책 속을 열어보니 이 작고 촘촘한 글씨들이란! 너무 귀엽다. 활자와 행간의 집중력이 맘에 든다. 양장본보다 거의 90쪽 정도가 절약된 셈이다. 그만큼 잘려나가는 나무들도 줄어든다는 소리다.
반면 문학과 지성사에서 나온 카프카의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는 행간이 너무 넓고, 거기다 사진자료가 있는 면은 검은바탕이라 그 면이 닿는 흰부분이 거뭇거뭇하다. 그리고 검은 잉크에서 나는 좋지 않은 냄새. 편지의 느낌을 살리려는 의도는 엿보이지만 왠지 '종이낭비'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고, 이런 게 맘에 안들면 가독성도 떨어진다.
왜 출판사들은 페이퍼북을 열심히 찍어내지 않은 걸까. 한때는 양장본을 선호한 적도 있다. 책꽂이에 꽂아놓으면 모양새가 더 그럴듯하니까. 근데 정말 읽기에는 좋지 않다. 특히 지하철 같은데서 들고 읽기에는 더더욱 좋지 않다. 그 두꺼운 겉표지의 무게감이란. 도판이나 사진이 없는 책의 경우는 정말이지 빤닥빤닥한 종이나 양장일 필요가 없을 것 같다.  
너무 멀리 옆길로 샜는데, 다시 '향수'로 돌아와서.
아주 아주 마음에 들었다. 한 손으로 들고 읽기에도 무리가 없고, 비닐캡으로 머리를 씌우고 판대기로 귀를 가리는 통에 자연스레 소리들이 차단돼서 집중도 잘됐다.
10년을 기다려 읽고, 사게 되었는데 기다린 보람이 있다.
이 책을 통해 이성의 지배를 받지 않는, 이성보다 우위에 있는 '감각'의 자유를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더불어, 싹둑 잘라버린 머리도 맘에 든다.
앞머리 관리가 좀 걱정되긴 하지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rine 2006-10-01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몇년 전 병원 응급실에서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 때 친절한 의사 선생님이 빌려 주셨거든요

부엉이 2006-10-02 2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응급실. 향수를 읽기엔 기묘한 장소네요. 책을 읽으실 정도였으면 위급한 상황은 아니었을 거라 상상하며 마음 놓습니다..^^;;

marine 2006-10-03 17: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게 아니라 병명이 안 나와서 입원실로 못 가고 3일을 응급실에서 보낸 거였어요 대학병원은 진단명이 나와야 정식 입원이 된다더군요 당시 병명은 장티푸스였답니다
 

위대한 교양인 몽테뉴 (Michel Jokan No Hito)
홋타 요시에(1918- , 일본)
김석희 역
한길사
알라딘, 두레문고

 

 

 

 

1권 전란의 시대 (Michel Jokan No Hito Vol.I Soran No Jidai, 1991)
2권 자연,이성,운명 (Michel Jokan No Hito Vol.II Shizen, Risei, Unmei, 1992)
3권 정신의 축제(Michel Jokan No Hito Vol.III Seishin No Shukusai, 1994)

 


1권
미셸 에켐 드 몽테뉴(1553. 2. 28- 1592) 
프랑스 남서부 보르도(보르도는 오랫동안 영국이 지배)시 기엔(아키텐의 지방어) 지방의 몽테뉴 성.

당시의 유럽 정세 
① 에스파냐의 왕이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인 카를 5세(=카를로스 1세),
② 프랑스는 프랑수아 1세 - 카를 5세에게 대항,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와의 동맹관계가 수시로 뒤바뀜. 
③ 나바르 공국 - 개혁파 침투, 마르그리트 공비, 인문주의의 아성.
④ 영국은 헨리 8세 - 영국국교회 설립.
⑤ 이탈리아는 로마, 베네치아, 피렌체, 나폴리, 밀라노를 중심으로 한 공국.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갈등과 분쟁이 시작,
⑥ 르네상스기.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 마키아벨리, 토마스 모어
⑦ 예수회 설립 : 이그나티우스 데 로욜라


에라스무스(1466-1536)
마키아벨리(1469-1527)
미켈란젤로(1475-1564)
토마스 모어(1478-1535)
마르틴 루터(1483-1546)
이그나티우스 데 로욜라(1491-1556)
헨리 8세(1491, 재위 1509-1547)
마르그리트 드 나바르(1492-1549)
프랑수아 1세(1494, 재위 1515-1547)
카를 5세(1500, 재위 1516/1519-1556)
칼뱅(1509-1564)
앙리2세(1519, 재위 1547-1559)
카트린 드 메디시스(1519-1589)
몽테뉴(1533-1592)

백년전쟁(1337-1453, 영국과 프랑스/잔 다르크)
프랑스를 전장()으로 하여 여러 차례 휴전과 전쟁을 되풀이하면서, 1337년부터 1453년까지 116년 동안 단속적()으로 계속되었다.
영국은 1066년 노르만 왕조의 성립 이후 프랑스 내부에 영토를 소유하였기 때문에 양국 사이에는 오랫동안 분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1328년 프랑스 카페왕조의 샤를 4세가 남자 후계자가 없이 사망하자, 그의 사촌 형제인 발루아 가()의 필리프 6세가 왕위에 올랐다.
이에 대하여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그의 모친이 카페왕가 출신(샤를 4세의 누이)이라는 이유로 프랑스 왕위()를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양국간에 심각한 대립을 빚게 되었다. 영국의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기 위하여 플랑드르에 수출해오던 양모() 공급을 중단하고, 그 보복으로 프랑스의 필리프 6세는 프랑스 내의 영국 영토인 기옌, 지금의 가스코뉴 지방의 몰수를 선언하였으며, 1337년 에드워드 3세는 필리프 6세에게 공식적인 도전장을 띄우게 되었다.원래 플랑드르는 프랑스왕의 종주권() 아래에 있었지만, 중세를 통하여 유럽 최대의 모직물 공업지대로서 번창하여, 원료인 양모의 최대 공급국인 영국이 이 지방을 경제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기옌 역시 유럽 최대의 포도주 생산지였으므로, 프랑스왕들은 항상 이 두 지방의 탈환을 바라고 있었다. 따라서 전쟁의 근본적 원인은 이 두 지방의 쟁탈을 목표로 한 것이다.


몽테뉴는 라틴어를 모국어처럼 익혔고, 프랑스어는 거의 할 줄 몰랐다. 그가 학문을 익혔던 보르도의 기옌학교 교장은 그 자신이 가톨릭 성직자였으나 많은 프로테스탄트와 이교도를 자처하는 학자들을 교수로 받아들였고, 종교적으로는 자유주의를 표방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라틴어에 능숙했던 몽테뉴는 이교적인 로마의 많은 서사시를 읽으며 성장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인간에 대해서는 그런 식으로 그 자신의 가치에 따라 평가하지 않는 것일까. 어떤 사람은 많은 하인과 훌륭한 저택과 권세와 수입을 갖고 있지만, 이런 것들은 모두 그의 주변에 있는 것일 뿐 그의 내면에 있는 것은 아니다.

당신은 왜 한 인간을 평가함에 있어 포장된 상태의 그를 판단하는가. 그래서는 그 자신의 것이 아닌 것들만 볼 수밖에 없고, 그 사람은 겉보장만 보여줄 뿐 정작 중요한 부분은 감추게 된다. ... 인간을 판단하려면, 그 사람의 장식품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사람 자신에 의해 판단해야 한다.
- 편견을 없애고 사람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 너무 어렵다. 그 외피들을 다 걷어내려면 얼마나 명료한 눈을 가져야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들의 대한민국1
박노자 지음
한겨레출판사

 

한 후배가, 최근 양심적 병역거부를 했다. 고등학교와 대학원 후배인 그 친구를 떠올리며 문득 이 책이 떠올랐다. 전에 읽다가 그만 뒀는데, 새로운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시 한번 도전해 보련다. 근데 정말 궁금하다. 박노자씨는 이 책을 정말 혼자 썼을까? 한문학을 공부했다고는 하지만 왠만한 한국 사람들 이상의 필력이 돋보이기 때문이다. 불어도 어렵긴 하지만 내가 외국인이라면 불어보다는 한국어가 더 어렵다고 느꼈을 것 같다. 그럼에도 솔직히 나는 불어로 이만큼의 글을 쓰지는 못한다. 한국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도 분석이지만 나는 박노자씨의 필력에 우선 감탄을 금치 못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rine 2006-10-01 0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종석씨도 그의 한국어 실력에 찬사를 보내더군요 외국인이 썼다고는 믿기 힘든 필력이죠^^

부엉이 2006-10-02 2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꼭 한 번 만나서 확인해보고 싶어요!
 

공산주의 선언(Das Kommunistiche Manifest, 1848)
칼 마르크스 Karl Heinrich Marx(1818-1883, 독일)
프리드리히 엥겔스 Frederich Engels(1820-1895, 독일)
김태호 옮김
박종철 출판사
2005.6 알라딘

 



 
 
 
 
 
 
 
1872 독일어판
1882 러시아어 제 2판
1883 독일어판
1888 영어판
1890 독일어판
1892 폴란드어 제 2판
1893 이탈리아어


1888, 영어판

 하나의 유령이 유럽에 떠돌고 있다. 공산주의의 유령이.

 1. 부르주아와 프롤레테리아
*부르주아지 bourgeoisie : 생산수단의 소유자, 임금노동의 고용자.
*프롤레테리아 proleteria :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하는 임금 노동자 계급.
사회는 계급 투쟁의 역사이다. 억압자와 피억압자의 끊임없는 대립이며, 그 투쟁의 끝은 사회의 혁명적 개조나 계급의 공동 몰락이었다.
사회는 신분과 등급으로 구분된다.
현대의 부르주아 사회는 봉건사회의 몰락으로 탄생하였으며, 이전 사회의 계급 대립을 타파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양상의 계급 대립으로 바꿔놓았을 뿐이다. 다른 시대와의 차이점은 계급 대립을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테리아트로 단순화했다는 점이다.
성외시민으로부터 부르주아지 최초의 요소들이 발전되었다. 매뉴팩처의 도입으로 장인계급이 쇠퇴하였으며, 공업 생산 혁명으로 대공업이 가능해졌다. 식민지 개척으로 시장이 확대되면서 부르주아의 자본이 증대되었다. 부르주아의 진보는 생산과 교류 방식의 변혁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부르주아지의 정치적 진보를 살펴보면, 봉건제도 하에서는 피억압자였고, 꼬뮌 하에서는 무장자치 연합체였으며, 이탈리아에서는 도시공화국을 이루었다. 프랑스에서는 납세 의무를 지닌 제3신분이었고, 매뉴팩처 시기에는 귀족에 대한 평형추를 이루었다. 대공업과 세계 시장을 통해 배타적인 정치적 지배권을 쟁취했다.

현대의 국가 권력은 부르주아 계급 전체의 공동 업무를 관장하는 위원회일 뿐이다.
부르주아지는 봉건적 잔제를 타파하고 이해, 금전관계만을 중요시했다. 이기적 타산.
은폐된 착취를 공공연하고 파렴치한 착취로 탈바꿈.
끊임없는 혁명을 일으키고, 생산을 변화시켰으며, 사회 상태들을 동요시킴. 영원한 불안, 격동 - 다른 사회들과의 차이점.
생산물의 판로를 끊임없이 확장하려는 욕구.
세계의 시장화로 모든 나라들의 생산과 소비를 범세계적으로 만듦.

새롭게 형성된 것들은 정착되기도 전에 낡은 것이 되어 버린다.


논문을 쓰다가 부르주아에 대해 궁금해서 산 책이다. 물론 그 당시에는 여유가 없어서 자세히 읽지는 못했지만 1장 부르주아와 프롤레테리아를 통해 기본적인 개념은 습득되었다. 부르주아지는 '개인의 존엄성을 교환 가치로 해소해 버렸다'는 지적이 매우 날카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르마의 수도원(La Chartreuse de Parme, 1839)
스탕달(Stendhal, 1783-1842, 프랑스)
원윤수, 임미경 공역
민음사
2006.3.13 알라딘

 

 

 

 

 

*등장인물
델 동고 후작
델 동고 후작부인
지나 피에트라네라 백작부인 : 델 동고 후작의 여동생(후의 산세베리나 공작부인)
아스카니오 델 동고 : 후작의 장남
파브리스 발세라 마르케지노 델 동고 : 후작의 차남
블라네스 신부 : 파브리스를 교육. 점성학에 관심.
파비오 콘티 장군 : 파르마의 장군
클렐리아 콘티 : 장군의 딸.
보르다 : 성당 참사원, 지나를 연모.
모스카 델라 로베레 소레자나 백작 : 파르마 대공 에르네스트 4세의 육군대신, 경찰청장, 재무대신. 40-45세.
라베르시 후작부인 : 모스카 백작 일파의 라이벌, 자유주의 당파의 우두머리, 산세베리나 공작의 조카딸.
산세베리나 탁시스 공작 : 모스카 백작이 피에트라네라 백작부인을 궁정에 들이기 위해 위장결혼시킨 대상. 68세의 노인, 거부. 훈장타는 것만을 목적으로 백작부인과의 결혼을 통해 대사자리를 얻고 훗날 훈장을 타기 위해 이 결혼을 받아들인다. 이로써 지나 피에트라네라는 산세베리나 공작부인이 된다.
파르마 대공 - 라 뉴체 에르네스트 4세
클라라 파올리나 : 파르마 대공비
란드리아니 신부 : 파르마의 대주교, 귀족 앞에서는 무릎을 꿇기 위해 태어난 사람.
발비 후작부인 : 파르마 대공의 애인.


파브리스는 나폴레옹을 만나기 위해 프랑스의 전쟁터로 향한다. 밀라노 공국의 신민인 파브리스는 가짜 여행 증명서를 지니고 다니다가 헌병대에 체포되어 한달의 감옥에 있다가 마음씨 좋은 옥지기의 아내에게서 투옥된 경기병의 군복과 신분증을 지니고 프랑스 연대에 들어간다. 거기서 그에게 친절하게 굴던 이동식 매점 여인은 그의 돈을 훔치고, 말을 빼앗기고, 온갖 고생을 하게 된다.

한편 파브리스의 고모 지나 피에트라네라 백작부인은 파브리스에 대한 사랑을 싹틔우고, 파르마의 재무장관인 모스카 백작은 피에트라네라 백작부인에게 연정을 품게 된다. 그녀와 함께 파르마의 궁정으로 들어가고 싶었던 그는, 그러나 그가 유부남이기 때문에 미망인인 피아트라네라 백작을 나이 많은 산세베리나 공작과 결혼을 하도록 주선한다. 산세베리나 공작은 단 한번의 실수로 훈장을 박탈당했으나, 결혼을 하고 외교관 임무를 수행하면 훈장을 얻을 기회를 다시 얻게 되기에 단지 그 목적만으로 그녀와 결혼한다. 모스카 백작은 늙은 산세베리나 공작이 죽으면 그 자리를 자신이 차지할 생각을 한다.

이렇게 산세베리나 공작부인이 된 파브리스의 고모는, 나폴레옹의 실각으로 파브리스가 밀라노로 들어오면 범법자가 될 것을 염려하고 다른 곳에서 피신하여 신학공부를 하도록 돕는다. 고모와 모스카 백작의 따뜻한 충고로 조신한 생활을 하던 파브리스는 파르마의 대주교의 신임을 얻어 보좌주교의 자리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파브리스는 극장의 여배우 마리에타 발세라에게 끌려 그의 남편 격인 질레티와 싸우게 되고, 그와의 결투에서 질레티를 죽여 볼로냐로 도망친다. 그런데 다시 거기서 파우스타라는 가수에게 이끌린다. 그녀를 사랑하고 있던 M백작은 파르마로 피신하고, 자신의 연적이 파르마의 왕세자라고 착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