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토 크라트]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플루토크라트 - 모든 것을 가진 사람과 그 나머지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지음, 박세연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변의 소시민들은 열심히 자신의 업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저 한달에 일하고 받는 월급으로 가족들을 먹여살리며 그렇게 사진의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직장에서 해고되고나 월급이 줄어들면 내가 능력이 모르자라거니 탓하면서 그렇게 삶을 이어가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내 주변에 부자들이 별로 없기에 부자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부자들이 어떠한 습성을 가지고 있고 부자들이 어떻게 돈을 모으고 쓰고 있는지 모른다. 파레토 법칙이라고 하던가 20대 80의 법칙으로 소득의 상위 20%에 해당하는 사람이 전체 소득의 80%를 차지한다는 이론으로 이 20대 80대 법칙은 무수히 많은 부분에서 적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20대 80의 파레토 법칙은 급격한 경제적 변화로 인해 수정되어야할 위기, 아니 벌써 폐기되어야할 이론이 되고 말았다. 이제 상위 20%의 경제적 부를 지닌 사람이 전체 소득의 80%를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위 0.1%의 사람이 거의 절반에 가까운 소득을 가져가는 비율도 바뀌게 되었다.

 

 

이 책 <플루토크라트>는 바로 20대 80의 파레토의 법칙이 한갓 낡은 이론에 불구하고 이제는 0.1대 99.9로 나뉘는 사회가 되었다고 말하고 있고 이 0.1%의 사람들을 부와 권력의 모든 것을 가졌다는 의미로 ‘플라토크라트(Plutocrat)’라고 부른다고 한다. 플라토크라트(Plutocrat)는 그리스어로 부를 의미하는 ‘pluto’와 권력을 의미하는 ‘kratos’의 합성어로 부와 권력의 모든 것을 다가진 최상층이라는 의미의 조어이다. 이 책 <플라토크라트>의 저자 크리스티아 프릴랜드는 경제 기자로써 오래동안 최상층의 플라토크라트들을 취재하면서 얻은 생생한 정보들을 정리해논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산업혁명 이후부터 세계의 경제는 급격하게 발전을 하여 도금시대를 맞이하였지만 최근의 금융의 발전등과 같은 자본의 변화와 변동으로 인해 급격한 경제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그러한 세계적인 경제적 변화와 계층의 나누어지는 현상들을 기자의 예리한 눈으로 잘 포착해내고 있다.

 

커다란 경제적 변화의 추가지 추동적 힘이 존재하는데 첫 번째 힘은 산업혁명이였고 이 산업혁명으로 인해 세계의 부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중산층이 생겨나게 되었으나 노동자들은 기계로 대체되어 일자리를 잃게되고 자본가들은 더 많은 부를 축적하게 되므로 본격적인 자본주의 사회, 계층으로 분리되는 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산업혁명보다 더욱 급격한 경제적 변화로 인해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게되는 두가지 힘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기술 혁명과 세계화이다. 기술혁명과 세계화로 인해 부의 폭발적인 증가를 힘입어 세계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부를 소유하는 최상위층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들은 세계적으로 이동하며 같은 계층에 있는 사람들과 그룹을 이룸으로 플루토크라트 계층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들은 자수성가한 사람이기도 하지만이들의 부가 후대로 되물림 될 때는 되물림된 부로 인해 사회의 계층화현상은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된다. 이것은 불평등의 시작으로 이러한 경제적 불평등 분배는 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낳게되며 지속적인 악순환을 가져오게 된다.

 

대부분의 플루토크라트들은 자신들의 부가 사회의 엄청난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자신들은 오히려 중산층들의 발전에 큰 이익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구글의 CEO 에릭 슈미트는 자신은 월가의 점령 운동에 별 관심이 없으며 99% 사람들의 불만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해본적이 없다고 하였다. 이것이 플루토크라트들이 현재 경제적 계층화와 불평등에 대해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다. 그들은 중산층의 몰락이 오히려 중산층들의 연봉이 지나치게 높았다고 생각하며 자신들은 단지 그들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할 뿐이였다. 트리클 다운 효과처럼 자신들의 경제적 부가 증가하면 그 밑의 사람들에게도 그 효과가 미칠것이라는 생각이 플루토크라트들이 가지고 있는 변하지 않는 기본적인 생각의 틀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이들을 비난하지 않으면서 철저한 통계와 자료를 통해서 그들이 어떻게 그러한 부를 축적할 수 있는지 추적해 나간다. 그러한 과정이 저널리스트답게 흥미진진하고 역동적으로 엮어주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이러한 경제적 진보와 빈곤이 어떻게 양립할 수 있을지 19세기 유명한 경제학자 헨리 조지를 인용하며 진지하고 묻고 있다. 헨리 조지는 <진보와 빈곤의 결합은 우리 시대의 거대한 수수께끼이다. 오늘날의 진보가 오로지 거대한 부를 축적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한, 그리고 사치를 조장하고 부자의 집과 빈자의 집의 차이를 계속해서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진보는 진정한 발전이라고 할 수 없으며, 그러한 진보는 영원하지 못한 것이다>라고 했다. 헨리 조지는 19세기 진보적이며 존경받는 경제학자였지만 그의 견해는 주류 경제학자에 의해 묻혔지만 지금도 정의로운 분배를 갈망하는 진보주의자들에게는 존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저자가 헨리 조지를 언급한 것이 나는 매우 신선했다. 그리고 저자가 이 책에서 플루토크라트를 비판하고 있지는 않으나 나는 그녀가 헨리 조지의 관점을 견지하고 있으면 엄청난 진보의 사회에서 빈곤이 증가한다는 것은 바로 그들의 책임을 묻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0.1%의 최상위층 플루토크라트, 나를 비롯한 평범한 소시민들은 근접한 생활을 할수도 없고 그들의 삶을 상상도 할수 없다. 이러한 격차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까? 저자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지만 이 책속에서 우리에게 판단해 보라고 넌지시 과제를 던져놓고 있다.

 

기술혁명, 세계화, 워싱턴 컨센서스의 등장이라고 하는 세가지 요인은 세계 경제의 뚜렷한 성장, 그리고 세계적인 차원에서 플루토크라트의 재등장과 더불어 일어났다. 그 세 가지 요인 중 무엇이 1펴센트의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 소득 불평등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여전히 치열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한 논의에서 이데올로기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43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